[문재인의 사람들①] 개각 이후 靑 주요인사 15명 중 9명이 ‘서울대·남성’… 여성은 2명 뿐
  • ▲ 대통령비서실 및 국가안보실 주요인사표. ⓒ뉴데일리 DB
    ▲ 대통령비서실 및 국가안보실 주요인사표. ⓒ뉴데일리 DB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신임 일자리·경제·시민사회수석비서관 임명을 골자로 한 청와대 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청와대 개편은 정부여당의 압승으로 끝난 ‘6·13 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이후 진행된 점에서 정치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더욱이 문재인 대통령은 6·13 선거 후 메시지를 통해 “선거 결과에 결코 자만하지 않도록 경계하겠다. 지켜야 할 약속들이 머릿속에 가득하다. 국정 중심에 늘 국민을 놓고 생각하겠다”고 밝히며 집권 2년차 국정운영에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렸다. 개편과 함께 집권 2년차 하반기를 맞이한 문재인정부 청와대 인사(2018년 7월 1일 기준)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뉴데일리가 대통령비서실(2실장·8수석·2보좌관)과 국가안보실(1실장·2차장) 주요 인사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이른바 ‘서오남(서울대 출신·50대·남성)’이 절반을 차지했다. 대통령비서실 내 서오남 인사로는 조국 민정수석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 윤종원 경제수석, 김수현 사회수석, 김현철 경제보좌관 등 6명이다. 

    조국, 윤영찬, 정태호, 윤종원, 김수현, 김현철, 이용선, 정의용, 남관표 등이 '서(오)남'

    여기에 50대를 뺀 ‘서남(서울대 출신·남성)’만 적용한다면 이용선 시민사회수석이 추가된다. 국가안보실 내 서오남 인사는 없지만 서남을 적용한다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남관표 제2차장이 추가된다. 청와대 주요인사 15명 중 9명이 서오남 인사인 셈이다.

    서오남 인사들이 문재인 정부 1기부터 청와대 요직을 차지했던 것은 아니다. 6·26 청와대 개편 전 인사들 이력이 이를 방증한다. 정태호 일자리수석의 전임자인 반장식 전 일자리수석은 비서울대 출신 관료 이력의 소유자였고, 이용선 시민사회수석의 전임자인 하승창 전 사회혁신수석(현 시민사회수석) 역시 비서울대 출신 사회운동가 이력의 소유자였다.

    당초 서오남은 대법관 인사를 비판하는 말이었다. 그동안 대법원장을 포함한 14명의 대법관은 줄곧 서오남 출신들이 도맡았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 같은 대법관 인사에 대해 ‘배타적 엘리트주의’라고 지적했다. 서오남 이외의 이력을 가진 법조인의 대법관 임명은 ‘하늘의 별따기’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행은 ‘적폐청산’을 기치로 내건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사라지는 모양새였다. 최근 ‘변호사·비서울대·여성’ 출신 대법관 후보가 제청된 게 이를 방증한다. 하지만 청와대 주요인사부터 서오남 출신이 주류인 점에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요직 15명 중 여성은 조현옥, 문미옥 뿐

    한편 청와대 주요인사 15명 중 조현옥 인사수석과 문미옥 과학기술보좌관 단 2명만이 여성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국무회의 때 “이번주는 양성평등 주간”이라며 “성평등 문제만큼은 이 정부에서 확실히 달라졌다는 체감을 국민들께 드리도록 전 부처가 여성가족부와 함께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언급한 발언이 무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