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착오가 아니라
    새시대로는 가는 고육지책이다! 

    김미영 교수 

  • ▲ 세이지코리아 대표(전 조선일보 기자). ⓒ 뉴데일리DB
    ▲ 세이지코리아 대표(전 조선일보 기자). ⓒ 뉴데일리DB
    며칠 전에 한 미국인 교수가 아이 셋을 데리고 집에 놀러왔다.
    우리 나이 셈법으로 10살 5살 1살의 아이들이다.
    10살 딸이 맨 위 아이였는데 이 아이들 말고도 세 아이가 더 있다고 한다. 한 엄마가 다 낳았다. 

이 미국인 엄마는 아이들을 모두 홈스쿨링식으로 가르치고 있다. 물론 미국의 홈스쿨링 협회에서 교재나 교수법 등 도움을 받고 있지만 부부가 아이들을 모두 고등학교 과정까지 가르칠 계획이다. 

미국에서 홈스쿨링이 널리 확대된 배경에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큰 이유가 되었다고 한다. 말하자면 독실한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학교에서 기도는 물론 크리스마스 트리를 세워도 소송을 당하는 상황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크리스마스를 크리스마스라 부르기도 어려워진 상황에서 아이들을 공교육 기관으로 보내는 것은 낭패스러울 수 있다. 그래서 민감한 부모들은 대안을 찾아나서는 수가 많다. 

한국도 교육 자율화 다양화는 활발해지고 있다. 게다가 아예 초중고 과정을 외국에서 다니는 아이들도 늘고 있다. 

이제 본론을 말한다면 과연 20세기적 교육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 "국민교육"은 이미 전 세계 어디서든 해체되고 있다. 예전에 많이들 외곤 했던 국민교육헌장이 이제는 옛문서가 되었고 국민학교조차 불편한 이름이 되어 초등학교로 바뀐 지 오래다. 

국민문학이라는 것도 있었다.
한때 서구적 지성주의자였던 평론가 최재서의 국민문학론은 친일문학론이다.
국민이 아니라 천황의 신민의 다른 이름이었다. 

우리는 여전히 식민지 시대의 "국민" 개념에 대한 상처를 완전히 해소 못했을 뿐 아니라 20세기 후반 한국 현대사에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집단적 감수성을 집약한 그 "국민" 개념에서도 자유롭지 않다. 

이 21세기에 아직도 국민교육이란 필요한 것일까?
대한민국에 살기 위해선 이런 틀에 일단 들어가서 몸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일까? 

결론을 대신하여 스스로 이 질문에 답한다면 아니라고 생각한다.
국사를 배우지 않는다고 해서 애국자가 못되란 법도 없다.
국어든 국사든 필수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금의 국정교과서 문제가 불가피한 것은
이 방법이 아니고는 역사를 보는 합리적 "기준"조차 잡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역사학계에 절도범들이 기승을 부린 지 너무 오래됐다.
도저히 공존이 불가능하고 심지어 우리 자유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헌법에 반하는 생각이 들어와서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을 만큼 심각하게 장악된 지 오래다.  

다양성을 인정할 게 있고 하지 않을 게 있다.
다양성의 이름으로 포괄되기에 너무 멀리온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는
자정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는 판단이다.
상당수의 역사학자 역사교육자는 심지어 무엇이 문제인지조차 인식 못한다.  

다양성의 인정이 아나키의 인정이 될 수 없다.
악이 선으로 선이 악으로 둔갑되는 것조차 방치할 수 없다.
이렇게 가다가는 국민교육이 아니라 인간교육까지 망가지고 말 것이다.
이건 국민교육 이념이 낡은 것이된 21세기 이 시대에도 여전히 절체절명이다. 

우리는 수년 전 교학사 교과서를 이지메 방식으로 퇴출시키다시피 한 세력을 통해
사태의 심각성을 읽어냈다. 

이 혼돈을 방치한 채 통일로 갈 수는 없다.
건국 북한 통일 등 거시적 담론에서 헌법에 반하는 인식이 정리될 때까지
국정화를 통한 균형잡기는 불가피하다.
어떻게 이대로 두고 볼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