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국산 장비 장착…北 화생방 대응 필수장비
  • ▲ 신형화생방정찰차.ⓒ뉴데일리DB
    ▲ 신형화생방정찰차.ⓒ뉴데일리DB

    북한의 비대칭 위험인 화학, 생물학, 핵무기 사용시 우리 군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내년부터 양산될 예정이었던 ‘신형화생방정찰차’의 전력화에 비상이 걸렸다.

    육군은 북한의 생화학무기 등과 같은 새로운 위협양상에 대비하기 위해 신형 화생방정찰차를 양산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육군이 새누리당 정미경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내년도 정부의 국방예산안에서 신형 화생방정찰차 도입비 30억 원이 전액 누락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가 각군의 신규사업을 3개씩만 올리라고 하는 바람에 다른 사업에 밀려 누락됐다. 

    신형 화생방정찰차는 방위산업체 두산DST가 2011년 12월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7월부터 진행된 시험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기준을 충족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 내년부터 2021년까지 약 3천억 원을 들여 200여대를 배치하겠다는 계획이다.

    화생방 오염 지역에서도 승무원이 보호장구 착용 없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종 장비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운용해 작전 효율성을 높여 5㎞ 이상 떨어진 곳에서 생화학 공격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인명피해가 없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현재, 북한은 13종의 생물학무기 균체를 확보해 이중 치사율이 높고 전염성이 강한 탄저균 천연두 페스트 콜레라 보튤리늄 등 5종은 언제든 무기화할 수 있는 상태다.

    지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사태와 주한미군 탄저균 반입사고를 겪으면서 한국군이 북한의 생화학무기 공격에 대비할 수 있는 장비가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신형 정찰차의 도입시기가 늦춰지면 생화학전 대비는 물론이고, 장비를 첨단화해 사단급부대의 화생방대대를 통합하려던 계획도 연달아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정미경 의원은 “이미 올 해 개발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력화가 미뤄진다면 국민세금이 들어가는 사업비용의 상승은 물론 안보공백까지 우려된다" 면서, "북한의 도발수단중 하나가 생물무기에 의한 테러 일 수 있기 때문에 군의 철저한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