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잠수함 3~4척 동해기지 출항 후 감시망서 사라져”..있을 수 있는 시나리오
  • 23일 북한군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역적패당의 분별없는 도전을 짓부셔버리기 위한 우리 혁명무력의 특별행동이 곧 개시된다”는 협박을 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인민군 최고사령부 특별작전행동소조’라는 조직의 통고라며 “이명박 쥐XX무리에 대한 우리 군대와 인민의 분노는 하늘에 닿았다. 특별행동의 대상은 주범인 이명박 역적패당이며 공정한 여론의 대들보를 쏠꼬 있는 보수언론매체들을 포함한 쥐새끼무리들”이라고 밝혔다.

    북한군 ‘특별작전행동소조’라는 집단은 “우리 혁명무력의 특별행동은 일단 개시되면 3∼4분, 아니 그보다 더 짧은 순간에 지금까지 있어본 적이 없는 특이한 수단과 우리 식의 방법으로 모든 쥐새끼무리와 도발 근원들을 불이 번쩍 나게 초토화해버리게 될 것”이라고 협박했다.

    이 같은 북한군의 협박에 대헤 국방부는 겉으로 보기에는 조용하다. 하지만 지난 13일 미사일 발사 시험 실패 이후부터 전군은 서북도서와 동해, 남해 지역에서 비상경계태세를 펴고 있다. '성동격서'식 도발을 할 가능성 때문이다.

    ‘동아일보’ 5일 “北잠수함 3~4척, 동해기지 떠난 뒤 감시망에서 사라져”

    군이 '성동격서'식 도발에 대비하는 이유는 지난 4월 5일 "북한 잠수함 3~4척이 동해에서 사라졌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당시 ‘동아일보’는 “최근 북한 잠수함 3~4척이 동해안 기지를 출항한 뒤 사라져 군 당국이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단독보도 했다.

    ‘동아일보’는 “4일 군 정보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동해안의 잠수함 기지 2곳에서 북한 잠수함 3~4척이 출항한 뒤 한국군의 감시망에서 사라졌다. 이 잠수함들은 상어급(배수량 370t)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구체적인 위치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 ▲ 구글어스로 본 황해도 비파곶의 잠수함 기지. 큰 잠수함은 로미오급, 작은 잠수함은 상어급이다.
    ▲ 구글어스로 본 황해도 비파곶의 잠수함 기지. 큰 잠수함은 로미오급, 작은 잠수함은 상어급이다.

    ‘동아일보’는 이 보도에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이 동해안 섬 초소를 방문해 ‘적들이 감히 덤벼든다면 모조리 수장해 버리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4월 중순 ‘대포동 3호’ 미사일 발사실험을 앞두고 동해에서 도발을 벌일 것이라는 예측은 이미 군 관계자들 사이에서 제기된 바 있다.

    최윤희 해군참모총장도 지난 3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서해에 (우리의) 이목을 집중시킨 뒤 동해나 후방지역에서 ‘성동격서’ 형태로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 잠수함이 동해에서 출항한 뒤 사라진 것에 군 당국이 긴장하는 이유는 동해의 특성과 북한의 도발 범위 때문이다.

    ‘소나’도 제대로 안 통하는 동해

    동해는 평균 수심이 1,500m를 넘는 바다다. 여기다 태평양에서 올라오는 해류와 캄차카 반도에서 내려오는 해류가 만나는 장소인 탓에 수괴(水槐. Water bank)도 자주 생긴다. 특히 울릉도와 독도 인근에는 수괴가 자주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한반도 주변의 해류도. 동해는 특히 수심이 깊고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지역이라 잠수함을 탐지하기 어렵다.
    ▲ 한반도 주변의 해류도. 동해는 특히 수심이 깊고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지역이라 잠수함을 탐지하기 어렵다.

    문제는 이 수괴가 생기면 잠수함 탐지장비인 ‘소나(Sonar)’로 탐지해 내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여기다 북한 잠수함 중 대부분은 전투용이라기보다는 ‘침투’를 목적으로 만든 소형인 탓에 수괴 속에 쉽게 숨는다. 때문에 동해는 ‘잠수함 천국’으로도 불린다. 우리 해군과 미군은 동해에서 활동하는 북한 잠수함을 잡기 위해 10년 넘게 노력해 왔다.

    한·미·일 공동 연구팀은 2001년부터 3년 동안 연구한 끝에 울릉도와 독도 사이 해역에 천혜의 잠수함 경로가 생긴다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 해저의 울릉 분지에서 지름 60㎞의 소용돌이가 생겨 일본 쓰시마섬 방향으로 나간다는 것이다. 미군은 이 같은 현상에 주목해 당시 200만 달러의 연구비를 투자하기도 했다.

    여기다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지역에서는 ‘소나’가 쏘는 탐지음파가 왜곡된다. 때문에 해군이 엉뚱한 목표를 대상으로 ‘작전’을 펼치는 상황도 벌어진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0년 9월 초 동해에서 잠수함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보고 우리 해군 구축함이 출동한 일이다. 2004년 10월 미군 태평양 함대도 ‘북한 잠수함이 남한 영해로 침투했다’며 난리법석을 피운 적이 있다.

    북한도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어 보유한 80여 척의 잠수함대 중 80%를 동해상에 배치해 놓고 있다.

    북한의 동해 도발 시나리오

    현재 북한은 김정은이 정권을 물려받은 뒤 자신의 측근이 아닌 장성들을 숙청하고 있어 북한 장성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만성적인 영양실조 군대’라는 상황도 군부의 불만을 커지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다.

    한편 김정은과 ‘후견인’인 장성택․김경희 등에게 가장 큰 문제는 한미 연합이다. 한미 연합만 어떻게 하면 중국을 등에 업고 한반도 적화를 해볼 만도 하겠건만 쉽지가 않다. 최근에는 일본까지 끼어들어 ‘삼국 동맹’이 되어 가는 양상이다. 이들 입장에서는 ‘삼국 동맹’을 해체할 수 있다면 군부의 불만 정도는 문제가 안 된다고 볼 것이다.

    그런데 동해에 이 ‘삼국 동맹’을 깰 수 있는 아킬레스건이 있다. 바로 독도다. 일본 정치인들은 국내 정치를 위해 계속 독도 문제를 이슈화하려 한다. 자위대 전투함까지는 아니지만 해상보안청의 대형 감시선을 보내 독도 주변을 배회한다.

  • ▲ 독도 인근을 순찰 중인 우리 해경의 5001호 함. 일본 해상보안청 또한 종종 순시선을 독도 주변에 보낸다.
    ▲ 독도 인근을 순찰 중인 우리 해경의 5001호 함. 일본 해상보안청 또한 종종 순시선을 독도 주변에 보낸다.

    만약 북한 잠수(함)정이 독도와 울릉도 사이의 ‘잠수함 경로’ 속에 매복해 있다 독도 주변으로 접근하는 일본 해상보안청 감시선과 독도 인근에서 초계활동을 벌이는 우리 해군 함정을 어뢰로 공격한다면, 또는 한일 양국 함정이 다니는 경로에 기뢰를 부설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양국 정부와 미국은 ‘진상 파악’부터 하려 하겠지만, 한일 양국의 국민들은 기다려주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이 충격과 함께 분노에 휩싸일 것이다. 이어 양국 내부에서는 정치인들이 나서 ‘전쟁 불사론’을 펼칠 것이다.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가 ‘전쟁 일보직전’까지 틀어지면 미국은 한반도 전략은 곤란한 지경에 빠지게 된다. 북한은 물론 중국과의 협상 능력도 함께 바닥으로 추락하게 된다.

    한편 북한은 ‘모른다’고 하면 그만이다. 동해에서 300톤 급 잠수함을 찾아내기란 ‘짚단에서 바늘 찾기’ 수준인데다 4월부터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를 타고 내려가면 찾을 길이 없다. 여기다 더해 한국 해군 함정의 피격에 대해 ‘같은 민족으로써 일제의 만행을 규탄한다’고 말하면서 남한 내 종북주의자들의 일본 때리기를 도와줄 수도있다.

    중국 또한 ‘일본의 제국주의적 태도는 여전하다. 그런데도 미국은 계속 일본을 감싼다’고 비난하며, 한국을 편드는 척 하면 된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 내부에서 득세하는 ‘친중파’들은 속으로 만세를 부르며 ‘반일․반미 감정’ 키우기에 앞장설 것이다. 이어도 문제나 중국 어선의 불법행위 논란까지도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

    북한의 ‘성동격서(聲東擊西)’식 도발, 대응책은?     

    지금까지 북한이 저지른 각종 도발과 국제제재를 무시한 역사를 생각한다면, 이 같은 시나리오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과연 대응방안은 있을까. 지금 우리 해군은 경계태세를 강화하고, 미군과의 정보공조에 주력하는 것 외에는 없다.

  • ▲ 동해안에 전시 중인 '상어급 잠수정'. 배수량이 작지만 이를 활용해 매복 및 침투작전에 주로 활용한다.
    ▲ 동해안에 전시 중인 '상어급 잠수정'. 배수량이 작지만 이를 활용해 매복 및 침투작전에 주로 활용한다.

    일본이 도와준다면 가능할 수도 있다. 일본 해상자위대는 우리 해군이 18대 보유한 P-3C 대잠초계기를 100여 대 가량 보유하고 있다. 이 중 30% 가량을 동해상에 배치해 한미 연합군과 함께 초계작전을 펼친다면 감시망에서 사라진 북한 잠수함을 쫓는데 엄청난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는 양국의 정서, 특히 최근 독도문제를 놓고 씨름하는 점까지 생각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작전'이다.

    때문에 실제 할 수 있는 대처는 북한 잠수함이 사라졌다는 점을 일본에 알려주고, 우리 해군과 일본 자위대 함정이 수괴 인근에 접근하지 않는 방법 밖에 없다. 북한 잠수함은 모두 디젤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흘에 한 번 정도는 해상으로 올라와 충전을 해야 한다. 이때를 노리고 공중감시전력을 늘이는 일이 필요하다.

    4.11 총선에서 좌파 연대가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북한이 '성동격서'식 도발을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에 한다면, 남한 내 종친초세력들이 발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