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지구에 청원, 연기(세종시), 천안 선정광주, 경북에 연구단 25개 분산 배치 정치권 개입설, 선정 불공정 의혹 등 탈락지역 반발 거세
  • 앞으로 7년간 모두 5조 2천억원의 막대한 재원이 집중되는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최종 입지로 대전광역시가 선정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오전 과학벨트위원회 3차 전체회의를 열고 과학벨트 거점지구 최종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지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전 대덕지구는 입지선정 평가지표 가운데 연구기반 구축 및 집적도 부분에서 특히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덕지구가 연구개발 투자 정도, 연구인력·시설·장비확보 수준 등을 포함한 연구기반 구축과 집적도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고 전했다. 교과부와 과학벨트위원회에 따르면 대전은 지난달 28일 10곳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정량심사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대전 대덕지구로 확정됨에 따라 이곳에는 과학벨트 핵심인프라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선다.

    거점지구를 측면 지원하는 기능지구에는 충북 청원(오송, 오창), 충남 연기(세종시), 천안 등이 지정됐다. 이들 지역은 산학연 연구 지원, 관련 산업 지원, 기타 금융 및 교육기반 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기능지구 지정에 대해서는 거점지구와의 지리적 편의성이 우선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후보지 선정과정에서 일찌감치 탈락한 것으로 알려진 연기(세종시) 지역이 기능지구로 선정된 것과 관련해 교과부 관계자는 “기능지구는 선정과정에서 탈락한 지역은 물론이고 처음부터 후보지로 거론되지 않은 곳도 선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제외한 산하 50개 연구단 배치는 알려진대로 대덕특구에 절반이, 나머지는 최종 5곳의 후보지에 포함됐던 호남(광주)과 경북(대구, 포항, 울산)에 배치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호남의 경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북의 경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 등을 중심으로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예산규모를 기준으로 할 때 총 예산 5조2천억원 중 3조5천억원은 대전에, 나머지 1조 7천억원은 광주 및 경북지역에 투자될 전망이다.

    건국 이래 최대의 과학기술 프로젝트라 불린 과학벨트 입지선정이 마무리되면서 최종 후보지에 포함됐다 탈락한 지역을 중심으로 반발이 거제지고 있다.

    지역별로 일단 충청지역은 상대적으로 평온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청원과 천안 등은 겉으로는 유감을 표하면서도 내심 인접지역인 대전이 선정됐다는 점에서 사실상 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처음부터 충청, 호남, 영남을 잇는 삼각벨트 구도를 주장해 온 호남의 경우 강운태 광주시장을 비롯한 지역 정치권 인사와 시민단체 등은 이날 성명을 통해 “처음부터 입지를 결정해 놓고 모양새만 갖춘 짜맞추기 결정”이라며 “공정성과 투명성을 잃은 선정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윤봉근 광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시의회 의장단은 선정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날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가장 반발이 심한 지역은 경북이다. 이 지역은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면서 지역 정서가 달아오른 데다 이번에 과학벨트 최종입지에서도 탈락하면서 지역전체가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관용 지사가 13일부터 단식에 들어간 경북지역은 16일, 경북ㆍ울산ㆍ대구 3개 시도 범시도민 과학벨트 유치추진위가 경북도청 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최종 입지선정 발표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분산배치설이 흘러나오는 등 정략적으로 입지가 결정됐다”면서 불공정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