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성희롱에 폭력 난무...드러난 것은 극히 일부문제 교수는 대학 옮겨 계속 강의...학생만 피해 입어
  • 충남대는 한 교수가 수년간 대학원생과 유학생 등 10여명을 계획적이고 상습적으로 성추행 해왔다는 증언이 나와 대학 측이 사실여부를 조사 중이다.
    한국과학기술원(KIAST)에선 교수가 대학원생을 수시로 성희롱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해당 교수가 사표를 제출했다.
    또 고려대는 교수가 폭력을 휘두른다며 해당학과 조교가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는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행위와 대가성 뇌물을 요구한다는 내용의 탄원서 접수돼 감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대 음대 교수는 파면이 결정되면서 폭행 혐의가 인정된 상태다.

    전문 지식인을 양성하는 대학에서 성추행, 성희롱, 폭력 논란이 그칠 줄 모르고 있다. 제자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모범이 되어야 할 교수들이 오히려 학생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것이다.
    대학가의 갖은 의혹들은 사실이 아닌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 밝혀진 경우가 많다. 교수와 학생 사이의 논란들은 진위여부를 떠나 교수라는 직위를 이용해 학생의 진로나 경력, 학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졸업과 취직을 위해서는 교수의 승인과 추천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사회에서 교수와의 유대관계가 매우 중요한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피해 학생이 문제를 제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목격자나 증거물 확보 역시 현실적으로 힘든 상황이다. 이 같은 속에서 교수들에 피해를 입은 사례가 드러난 것은 극히 일부분이라는 것이 대학생들의 지적이다.

    매년 성추행, 성희롱 논란과 폭력 의혹은 이어져왔고 대학은 이러한 사건들이 일어날 때마다 해당 교수를 징계하는데 그쳤다. 문제를 일으킨 교수는 대학을 옮겨 강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별다른 불이익이 없는 경우도 많다.

    대학가에선 “이 같은 구조적 한계와 단편적 대응을 넘어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화학과 A씨는 “엄격한 기준의 교수 선발과 함께 교수 사회 내에서의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내부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가 생기면 덮고 보자는 식의 대학 측의 안일한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경희대 경영대 B씨는 “갑을 관계에 가까운 교수와 제자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해야 한다”며 “문제 교수에 대한 규제 강화 등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범 대학생 인턴기자<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