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전 61주년, 反共포로를 지킨 트루먼, 국군포로를 버린 한국

    트루먼은, 敵軍 포로의 人權을 존중한다는 고귀한 원칙을 지키기 위하여
    自國의 젊은이들을 희생시켰는데, 한국 정부는 억류 국군 포로 문제를 외면했다.

  • 趙甲濟   

오늘은 휴전선에서 총성이 멎은 61주년이다.
1951년 여름 개성에서 휴전회담이 시작된 이후 1953년 7월27일 휴전협정 체결에 이르기까지 2년이 걸렸다.
휴전회담이 이렇게 길어진 이유는 포로 송환 문제 때문이었다.
국군과 미군이 主力이던 유엔군에 포로가 된 북한군 및 중공군 중 상당수가 돌아가기보다는 자유세계에 남고 싶어 했다.
제네바 포로 조약은 본인의 의사와 관계 없이 무조건 송환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2차세계대전 때 독일군의 포로가 된 소련군인들 중 상당수가 남고 싶어했으나
미국은 이들을 무조건 돌려보냈다. 이들은 돌아가자마자 처형되거나 수용소로 보내졌다.
 폴 니츠 등 美 국무부 간부들은 이 前例를 되풀이해선 안된다고 생각했으나
국방부는 무조건 송환쪽이었다. 국무부와 국방부가 아무리 회의를 해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딘 에치슨 국무장관이 트루먼의 최종 결재를 받자고 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자유의지 확인 이후의 송환 원칙’을 결단했다. 
   
   공산군측은 무조건 송환을 고집하여 휴전은 늦어졌다. 트루먼 在任기간중 휴전에 이르지 못했으나 미국은 人權의 원칙을 관철시켰다. 미군은 韓國戰에서 戰死 5만3000명을 포함, 14만 명의 死傷者를 냈다. 그 가운데 45%는 휴전회담이 시작된 이후 입은 피해라고 한다.
인간의 자유의지, 그것도 敵軍 포로의 人權을 존중한다는 고귀한 원칙을 지키기 위하여
自國의 젊은이들을 희생시킨 셈이다. 
   
   미군은 1950년 흥남에서 철수할 때 그 긴박한 상황에서도 10만 명의 한국인 피난민을 군함에 태우고 남한으로 왔다. 이 또한 세계戰史에서 찾기 힘든 인류애의 發顯이었다. 
   
   1953년 6월18일 李承晩 대통령은 유엔군이 관리하던 반공포로들을 석방시켰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막바지에 이른 휴전회담이 깨진다고 화를 냈으나 공산군측도 내심으론
골치 아픈 문제를 그렇게 해소해버린 것이 차라리 잘 되었다는 생각이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휴전회담을 깨려는 李承晩 대통령을 말리는 과정에서
韓美상호방위 조약과 국군현대화 계획 및 戰後 복구지원들을 약속한다. 
   
   이때 처음으로 李承晩이 戰局의 주도권을 잡는 것이다.
트루먼, 스탈린, 毛澤東, 金日成, 맥아더가 주무르던 한국전쟁의 향방을
李 대통령이 막판에서 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韓美동맹이란 국가번영의 울타리를 만들어낸다. 
   
   수년 전 ‘毛澤東 秘話’를 쓴 정창과 할리데이 두 著者는 러시아측 외교문서를 인용하여
이렇게 주장했다. 
   <북한군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하고 있던 毛澤東이 金日成에게 휴전당시 不法억류하고 있던
6만 명의 한국군 포로들을 계속 잡아두도록 지시함으로써 이들을 비참한 운명에 넘겼다.
이들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탈출도 할 수 없도록 북한의 벽지로 보내졌으며 생존자가 있다면
이들은 아직도 그런 곳에 살고 있을 것이다.>
   
   毛는 중공군 포로 2만1374명중 3분의 2가 귀환을 거부하고 대만으로 가버린 데 대한 보복을 한국군 포로에 대해서 한 셈이다. 두 저자가 인용한 문서는 러시아에서 2000년에 출판된 '극동문제연구'(Problemyi Dalnego Vostoka. 제2권)에 실린 '알레나 볼로코바(Alena Volokhova)의
'한국전의 휴전회담'(1951-1953)이란 논문이었다. 
   
   이 毛澤東 傳記는 한국전쟁 때 戰死한 중공군은 약40만 명이며 延300만 명이 참전했다고 썼다. 공식발표로는 戰死者가 15만2000명이지만 鄧小平이 일본 공산당 지도자들에게 실토한 숫자가 40만이란 것이다. 
   
   좌익들이 만든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는 휴전회담이 늦어진 것은 유엔군측이 무리하게 자유송환 원칙을 지키려 했기 때문이란 투로 서술하였다. 공산군 입장에 서서 불평하는 꼴이었다.
그런 교과서 어느 하나도 北이 억류한 국군포로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트루먼 대통령은 自國民을 희생시키면서까지 反共포로의 人權을 지켜주었는데,
국군의 희생으로 오늘의 번영을 누리는 한국의 역대 정부는 北이 불법적으로 억류한 국군포로
문제를 잊었다.
 특히 좌파 정권은 약100억 달러의 금품을 北에 제공하고도 국군포로 한 명을 데려오지 못했다. 국가와 국민으로서 이보다 더한 타락은 없을 것이다. 
[조갑제닷컴=뉴데일리 특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