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本을 우습게 보는 세계 유일의 국민을
    실망시키는 통계들


    趙甲濟

       

  •      한국인들은 일본을 우습게 보는 세계에서 유일한 국민이라고 한다. 일본의 좋은 점을 이야기하거나 지금의 한국이 변하지 않으면 종합 국력(國力)에서 일본을 따라잡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하면 화를 내는 이들도 있다.
     
       도요타 자동차가 리콜 사태로 망한 줄 아는 이들이 많다. 작년의 쓰나미로 재기(再起)불능 상태라고 오해한다. 포춘 잡지의 '세계 500대 기업' 랭킹에서 도요타는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의 모든 제조업체중 1등이다. 유럽보다 산업혁명을 100년 늦게 시작한 일본이 세계최대의 공장을 만들어냈다는 것은 경이로운 일이다.
      
       월드 뱅크에서 발표한 세계 GDP 통계를 보고 "일본이 아직도 세계 3위이군요"라고 새삼 놀라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한국 신문과 텔레비전만 읽고 보다가 일본이 정치, 경제적으로 내려 앉는 중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일본의 경제력이 유럽의 최대 강국 독일보다도 더 크다는 사실을 직시(直視)하여야 이 거대한 이웃나라의 저력을 실감할 수 있다. 영국과 프랑스의 GDP를 합쳐야 일본과 맞먹는다.
      
       일본인들은 자기 자랑을 삼간다. 사실 그들이 가장 자랑할 만한 통계는 평균 수명(壽命)일 것이다. 인간으로 태어나면 일단 오래 살아야 한다. 사람이 오래 살도록 해주는 정치와 제도가 있는 나라가 일본이고 오래 살도록 내버려두지 않는 곳이 북한이다. 
          
       1. 평균수명:

       일본인은 작년 기준으로 24년째 세계1위. 일본 신문에 나는 부고 기사를 읽어보면 90세 이상 사망자가 다수이다. 최근 발표된 국제통계에 의하면, 일본여성의 평균 수명은 86.05세로 24년째 세계 1위이다. 2위는 홍콩으로 85.5세, 3위는 프랑스 84.3세, 이어서 스위스 84.2세, 이탈리아 83.98세이다. 남자는 아이슬랜드가 79.6세, 이어서 스위스와 홍콩이 79.4세, 일본이 79.29세, 스웨덴이 79.1세.
      
       남녀(南女) 평균으로 치면 일본이 세계1위이다. 일본은 북한인들보다 약20년을 더 산다. 나쁜 정부는 인간의 생명을 갉아먹는 불가사리이다.
      
       2. 한국의 경범죄 일본보다 44배:

       국회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지방경찰청 국감(國監)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경범죄로 처벌된 사람들의 숫자가 일본과 비교해 44.4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술 마시고 깽판 부리고, 아무 데나 쓰레기 버리고, 노상(路上) 방뇨하는 사람들이 일본과 비교해 그렇다는 것이다. 특히 ‘인근소란죄’의 경우 우리는 4만6,955건인데 일본은 25건, ‘오물(汚物)투기’는 일본은 98건인데 우리는 6만940건, ‘노상 방뇨’는 일본은 191건인데 우리는 1만1,535건이나 된다.
     
       3. 일본은 인구가 1억2730만 명으로 세계 10등이다.

       국민총생산에선 미국 중국에 이어 3등, 수출 수입 다 세계 4위, 해외재산보유액에선 1등, 살인사건 발생률에선 싱가포르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낮다. 연구 개발 투자액은 연간 1,300억 달러로서 세계 3등이다. 이 부문 종사자는 70만 명. 한국의 군인(軍人) 숫자와 비슷하다. 기초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15명 나왔다. 삶의 질 순위에선 세계 12등. 선진국이 되면 고된 어업을 기피하는 경향인데, 일본의 어획량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다. 군사비 지출은 세계 6위. 11세기에 쓰여진 <源氏物語>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소설이다. 일본 문자(히라카나-가다카나)는 한글 창제(創製) 600년 전부터 사용되었다. 18세기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는 에도(도쿄)였다.
      
       4. 법(法)을 지키려다가 굶어죽은 일본(日本) 판사:

      최근 중앙일보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장 불신을 받는 집단은 정치인, 법조인, 언론인 순서라고 한다. 국가엘리트일수록 국민들의 신뢰를 받지 못하니 대한민국이란 공동체는 정신에 문제가 생긴 셈이다.
      
       요사이 일부 판사들의 판결행태를 보면 법치(法治)를 파괴하려는 목적으로 법복(法服)을 입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이 간다. 경찰을 팬 좌경폭도들에게만 유달리 호의적인 판결을 내리는 판사들, 간첩혐의자나 간첩행위자에게 유리한 판결을 하는 판사, 그러면서 자유민주 진영의 사람들에게 유달리 가혹한 판결을 내리는 판사. 폭도들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는 후배 판사들을 지도하려는 선배 판사를 몰아내려고 집단행동을 한 판사들, 상관이 보낸 이 메일을 기자에게 알려주어 내부 사정을 폭로하게 만드는 판사, 이런 흐름엔 분명 이념적 작용이 있다. 법(法)을 개인의 신념에 종속시키려는 작용이다. 사람이 법을 만들지만 사람이 法 위에 올라가면 법치(法治)는 붕괴된다.
      
       전후(戰後)에 일본에서 있었던 사건을 하나 소개한다.
      
       1947년 10월11일, 패전(敗戰) 일본에서 한 판사가 배급 식량만 먹다가 영양실조로 죽었다. 그는 도쿄지방재판소의 야마구치(山口良忠)판사였다. 당시 34세. 그는 암(暗)시장에서 식량을 거래하는 행위 등 경제통제법위반 사건 담당 판사였다. 그가 죽고 나서 아사히 신문 서부 본사가 죽음의 실상을 보도하였다. 당시 일본당국은 모든 식량을 정부가 배급하고 암시장 거래를 불법화(不法化)하였었다.
      
       야마구치 판사는 식량을 不法거래하는 사람들에게 벌을 주는 일을 하는 자신이 暗시장에서 구입한 식량을 먹어선 안 된다고 생각하였다. 처(妻)에게 배급 식량으로만 끼니를 때울 것을 엄명하였다. 당시 어른 1인당 식량 배급량은 300g에 불과하여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암(暗)시장에서 식량을 따로 사먹고 있었다.
      
       야마구치 판사는 두 아이를 두었는데, 이들에게 먹을 것을 양보하다가 보니 영양실조에 걸렸다. 남이 식량을 보내주어도 그는 받지 않았다. 친척이 식사에 초대하여도 가지 않았다. 동료 판사들이, 가져온 음식을 그와 나눠먹으려 해도 듣지 않았다. 그는 일기(日記)에 "소크라테스처럼 악법(惡法)도 지켜야 한다"는 소신을 적었다.
      
       야마구치 판사는 격무에 시달리고 있었다. 암(暗)시장에서 식량을 샀다가 붙잡혀 오는 사람들이 하루에 100명이나 되었다. 이들에 대한 재판으로 체력(體力)소모가 많았다. 1947년 8월27일 그는 도쿄지방재판소 계단에서 쓰러졌다.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진단결과는 영양실조와 肺浸潤(폐침윤)이었다. 야마구치 판사는 회복되지 못하고 죽었다.
      
      *조선통신사 기록관이 본 18세기 초의 일본, 일본인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 시대 조선은 열두 차례에 걸쳐 조선통신사를 에토(지금의 도쿄)에 있던 막부(幕府)로 보냈다. 외교사절일 뿐 아니라 문화사절단이기도 했다. 조선통신사에 끼였던 기록관이 남긴 일본에 대한 관찰기를 지금 읽어보면 흥미롭다.

       1719년 德川吉宗(도쿠가와요시무네)이 막부의 최고 실력자인 장군직에 오른 것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파견되었던 조선통신사 일행에 製述官(제술관. 기록자)으로 동행했던 申維翰이 [海游錄]을 남겼다. 이 책을 읽으면 요사이 일본사회와 비교하게 되어 더욱 재미 있다.
      
       申維翰은 일본사회가 무사들에 의해 잘 통제되어 보통사람들이 매사에 아주 절도 있고 성실하게 임하는 것을 극구 칭송한다. 그는, 조선 통신사가 탄 배를 마중나온 일본 배가 날렵하게 바다를 헤쳐가면서 인도하는 모습을 기록하면서 느려터진 조선 선원들과 비교하고 있다.

       그는 일본사회가 병농공상(兵農工商)의 계급사회라고 보았다.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조선조 사회와 다른 점은 일본이 무사, 즉 병(兵)에 의하여 지배되는 사회인 데 반해 조선조는 글을 아는 선비나 양반에 의해 통치된다는 점이다. 신(申)씨는 특히 일본사회에서 유학자의 신분이 극히 낮은 데 유의하고 있다. 

       <兵(무사)은 안일하면서도 여유가 있고, 商은 부유하지만 세법이 무겁다. 工은 기술이 뛰어나지만 제품값이 너무 싸다. 농민들은 고생하지만 조세(租稅) 이외엔 다른 부역이 없다>
      
       申維翰은, 비록 칼을 찬 무사가 지배하는 일본사회이지만 형식적인 계급차별은 조선조 정도는 아니라고 보았다. 하지만 명분이 정해지면 상하가 단결하여 일을 정연하게 처리하는 것에 감탄하고 있다. 요약하면 이렇다.

       <太守(藩主. 大名)는 평범하고 다소 못나 보였지만 그 부하들은 태수의 명령을 받아 행하는 데 조금도 빈틈과 소홀함이 없었다. 부하를 불렀을 때 그에 응대하는 것이 메아리와 같고 일을 하는 데 전력을 다하며 보초 서고 차를 끓여오는 데 조금도 헛점이 없다>
      
       申제술관은 보통 일본인이 보여준 질서정연함에 놀란다. 특히 조선통신사가 지나가는 거리로 몰려나와 구경하는 일본인들의 모습에 감탄하고 있다. 

       <구경꾼들은 길 양쪽으로 갈라서 앉아 있는데 키가 작은 사람은 앞줄에, 큰 사람은 뒷줄에 앉는다. 차례대로 대열을 이루고 누구 하나 소란을 피우고 이탈하는 이가 없이 엄숙했다. 한 사람도 길을 넘는 자가 없었다>

       申제술관은 서민들의 이런 질서가 兵이 군법으로 다스리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일본사람들이 총명하고 문자를 많이 알며 특히 출판이 왕성한 데 놀란다. 요사이 일본을 여행하는 사람들이 일본인의 독서열에 감탄하는 것과 같다.

       <그들은 대체로 총명하고 말을 잘 하는데 필담(筆談)을 해보면 기언미담(奇言美談)을 인용한 표현이 많다. 이 나라의 서적은 조선에서 가져온 것이 100이라면 중국의 남경으로부터 가져온 것이 천을 헤아린다. 고금의 이서(異書)나 백가(百家)의 문집이 출판된 양을 본다면 조선의 10배 이상이다. 글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눠보니 서물(書物)을 먹는 지어(紙魚)처럼, 사람이 글자를 먹은 것처럼 보고 생각하는 안목이 밝다. 고사(古事)를 논하고 평하는 소견도 적확(的確)하기 짝이 없다>
      
       申維翰은 '오사카에서 서적 출판이 왕성한 것은 일대 장관이다'고 평하면서 특히 [퇴계집(退溪集)]을 읽고 공부하고 또 궁금해하는 일본사람들이 많다고 소개한다. 

       <그들이 묻는 항목을 보면 퇴계집(退溪集)과 관련한 것이 가장 많다. '도산서원은 무슨 군에 속합니까' '선생의 후손은 몇명이며 무슨 직책을 맡고 있습니까' '선생은 생전에 무엇을 좋아했습니까'라고 묻는 것을 다 적을 수가 없을 정도이다>

       申維翰은 조선통신사 일행이 에토로 가는 여로(旅路)에서 목격했던 주점의 청결성도 기록하였다. 

       <주점의 여자종업원들은 반드시 화장을 하고 깨끗한 복장을 하며 그릇도 청결하다. 倭의 풍습은 그릇이 불결해도 먹지 않고, 주인을 보고 누추하다고 생각하면 먹지 않는다>

       그는 또 일본인들이 상당히 개방적이고 남녀간에 서스럼이 없다고 썼다. 

       <여자들은 외국인한테도 손을 흔들고, 웃고 말하는 소리가 낭랑하며, 넓은 노상에서 남녀가 머리와 뺨을 만져도 조금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다>
      
       申제술관의 기록을 정리하면 18세기 초 일본인과 일본인사회는 이러하다.
      
       1. 사람들이 책을 많이 내고 많이 읽는다.
       2. 외국문물을 배우고 외국인에게 묻는다.
       3. 군사문화의 지배로 해서 사람들의 행동이 절도가 있으며 능률적이다.
       4. 깨끗하고 서비스 정신에 투철하다.
       5. 남녀간 차별이 심하지 않다.
      
       이상의 일본인 특징은 요사이 일본을 여행하는 한국인의 눈에 비치는일본인의 모습이기도 하다. 당시 일본인과 일본사회가 선진적인 면이 있었고 이런 바탕에서 명치유신이 가능했으리라는 것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민족성이란 것이 하루아침에 생기고 바뀌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게 한다. 요사이 일본에서는 도쿠가와 막부 시대의 약300년에 걸친 평화가 오늘의 번영을 만든 기초가 되었다고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런 통계도 있다. 일본의 일간신문 구독수는 총 5,300만부로서 인구가 두 배인 미국의 5,520만부와 거의 같다. 요미우리 신문은 발행부수가 1,010만부이다. 미국의 USA TODAY는 230만부이다. USA TODAY 발행인인 알 뉴하스는 일본신문이 뉴스를 공정하게 보도하고 교양있는 표현을 쓰며 독자들을 예우하는 면에서 미국신문보다 낫고 이것이 일본신문의 성공비결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신문이 일본신문의 공정하고 겸손한 자세를 배우라고 충고했다.

       申제술관의 기록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이미 에토시대에도 출판과 독서를 많이 했다는 것이다. 이런 독서의 전통 위에 일본의 신문이 서 있다. 일본신문들은 1면 광고는 반드시 책광고로 메운다. 
          
       그리스 로마 기독교 문화계통의 서구 열강을 빼고 후발(後發) 근대화 국가중에서 선진국에 진입한 비(非)서구 나라는 지난 200년간 일본 하나뿐이었다. 그것을 가능하게 한 교양과 생산력의 축적이 장기간에 걸쳐 이뤄져 있었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류국민이 일류국가를 만든다. 일류국민이란 애국심, 교양, 전문성을 두루 갖춘 생산성과 창조성과 규율이 강한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