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북송 피해가족들, 尹 대통령에 공개 서한"2018~19년 공동선언에 日 납북자 문제 담겨"
  • ▲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 13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외교부 제공
    ▲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 13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외교부 제공
    강제 북송 피해 가족들과 북한인권단체들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오는 26~27일 '제9차 한일중(한중일) 정상회의'에서 탈북난민 강제 북송 금지와 한국행 보장을 논의할 것을 호소했다.

    이들은 23일 윤 대통령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지난 2018~2019년 제7~8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사실을 언급하며 중국의 계속되는 탈북자 대규모 강제 북송과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를 공동선언에 담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을 향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상징하는 푸른 리본 배지를 달듯이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물망초 배지를 착용"하고 "한국인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의 조속한 해결 희망을 회의 문서에 추가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일중 3국은 2018년 5월 9일 제7차 한일중 3국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한국과 중국의 지도자들은 북·일간의 납치자 문제가 대화를 통해 조속히 해결되기를 희망한다"고 명시했다.

    이듬해인 2019년 12월 24일 제8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채택한 '향후 10년간 3국 협력 비전'에도 "중화인민공화국 및 대한민국 정상은 일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 납치 문제가 대화를 통해 가능한 한 조속히 해결되기를 희망한다"고 적시했다.

    이번 서한에는 지난해 10월 중국에서 북한으로 송환된 김철옥 씨의 가족인 김규리 씨와 김혁 씨, 2013년 이후 북한에 구금 중인 김정욱 선교사의 형 김정삼 씨, 북한인권시민연합(NKHR), 북한정의연대, 6.25 국군포로가족회, 물망초, 노체인, 징검다리, THINK,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 등 11개 개인·단체가 서명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 의제에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와 중국의 대만포위훈련 등 대만 문제가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한일중 정상회의 주요 일정에 대해서는 발표가 있었다"며 "미리 예단해서 이번 정상회의 의제 또한 결과에 대해서 미리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만 말했다.

    아울러 임 대변인은 중국이 1992년 한중수교 당시부터 한국이 수락하길 거부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준수'하라고 압박하며 역사 왜곡을 펼치고 있는 데 대해선 "하나의 중국을 '존중'하는 우리 정부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며 "우리 정부는 대만 사안과 관련해 중국과도 소통하고 있고, 중국도 우리 정부의 입장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