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현장에서 열린 시무식에 참석한 허윤홍 GS건설 사장. ⓒGS건설
요즘처럼 총선이 얼마남지 않은 시기엔 전국 곳곳이 시끄럽다. 거주지내 기피시설 건립을 반대하는 '님비(NIMBY)', 도로·철도 등 인프라시설 유치를 촉구하는 '핌피(PIMBY)' 갈등이 수면위로 드러나는 까닭이다.
총선 정국엔 지역이슈가 공론화되기 쉽고 정치권도 이를 선거전략으로 교묘히 이용하는 경향이 짙다. 개발사업 발주처나 시공사들이 선거전만 되면 유독 신경을 곤두세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최근 GS건설은 고양 데이터센터와 위례∼신사간 도시철도(위례신사선) 관련 부정여론에 부딪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초 GS건설은 자회사 마크나PFV를 통해 고양시 덕이동 1만7000㎡ 부지에 지하 2층∼지상 5층 규모 데이터센터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전자파로 인한 인체유해성 논란이 불거지며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사업대상지 인근 아파트 주민들은 전자파·소음·열섬현상 등이 우려된다며 거세게 반발했고 지역 정치권도 이를 거들고 나섰다.
결국 인허가까지 완료된 사업은 유해성 이슈로 아직 첫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GS건설은 주민설명회를 열어 유해성 논란이 과장됐음을 알리려 했지만 그마저도 반대여론에 부딪혀 무산됐다.
위례신사선은 공사비 갈등으로 착공이 늦어져 주민반발을 산 케이스다.
위례신사선은 2008년 2기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일환으로 처음 계획됐지만 중단과 재추진이 반복됐다.
그러던중 2020년 1월 GS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며 사업이 급물살을 탔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공사비가 30%가량 급등하자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공사비 인상분을 반영한 총사업비 변경여부를 두고 기획재정부·서울시·GS건설 컨소는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고 사업은 공회전을 반복했다.
결국 분노한 위례신도시 주민 100여명은 지난달 28일 서울시청과 GS건설 본사 앞에서 신속한 사업 추진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특히 위례신도시 주민들은 입주 당시 위례신사선 건설 명목으로 교통개선부담금 3100억원(가구당 1400만원)을 납부했기 때문에 분노가 클수밖에 없다.
GS건설로선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
계획했던 사업이 지연되면 재정 손실이 쌓이고 회사 브랜드 이미지만 악화된다. 더욱이 '4세 경영'을 본격화한지 얼마되지 않는 시점부터 이렇게 사업이 하나둘 꼬여버리면 답이 없다.
결국 소통만이 얽힌 실타래를 풀 수 있다.
유해성 논란이 불거진 데이터센터 경우 책임·안전시공을 약속하며 주민설득에 나서야 한다.
데이터센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냉장고 등 생활가전보다 적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실무진이 아닌 고위경영진이 직접 나서 지역주민과의 스킨십을 강화하고 고용창출 등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위례신사선 경우 왜 사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 '책임은 서울시에 있다'는 식 대응은 책임회피 논란만 키울 뿐이다.
허윤홍 사장이 늘 강조하던 '소통경영'을 보여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