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위임에 따라 경고"… '한미 비난담화' 발표"美, 안보리를 '대북적대시기구'로 전락시키려 횡포"北, '대북적대시'에 따른 '방어용' 핵개발 주장하나…南 GDP 앞서던 '신흥공업국' 北, 1955년 핵개발 시작
  • ▲ 지난 2022년 11월 20일 북한 조선중앙TV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발사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리설주 여사,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이 환호하는 모습. ⓒ조선중앙TV 캡쳐/뉴시스
    ▲ 지난 2022년 11월 20일 북한 조선중앙TV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발사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리설주 여사,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이 환호하는 모습. ⓒ조선중앙TV 캡쳐/뉴시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19일 "우리는 여전히 남조선것들을 상대해줄 의향이 없다"며 "'적'의 행동 건건사사(사사건건)를 주시할 것이며 우리에 대한 적대적인 것에 매사 상응하고 매우 강력한 압도적 대응을 실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을 발사한 다음날인 이날 북한 관영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담화를 내고 "'바보들'이기에 일깨워주는데 대륙간탄도미사일로 서울을 겨냥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여정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규탄하기 위한 대북제재 결의는 물론이고 강제력이 없는 '의장성명'까지 반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2개 이사국을 향해 다시 한번 결집을 호소했다.

    그는 "진정으로 조선반도(한반도) 지역정세를 우려하고 평화와 안정을 바란다면 모든 나라들이 국제평화와 안전보장의 중대한 책임을 지닌 안보리를 저들의 극악한 '대조선(對北) 적대시정책 실행기구'로 전락시키려는 미국의 강권과 전횡을 절대로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합법적인 주권국가'의 '자위권'을 포기시켜 들려는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고약한 행위를 묵인해서는 안 되며 그것이 헛된 노력임을 알게 만들어야 한다"며 "이번에도 우리의 적수들은 근거 없이 공화국의 자주권에 대한 '노골적인 침해행위'를 감행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밤낮 그 무슨 위협에 대비한다는 구실을 내들고 확장억지, 연합 방위태세를 떠들며 미국과 남조선것들이 조선반도 지역에서 군사적 우세를 획득하고 지배적 위치를 차지해보려는 위험천만한 과욕과 기도를 노골화하고 있는 것은 각 일각 지역의 안정을 파괴하고 정세를 더더욱 위태해지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을 향해 "세상을 기만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 대해 적대적이지 않으며 대화에 열려 있다'는 헛소리를 걷어치우고 대화판에서 시간을 벌어보려는 어리석은 궁책을 포기하며 우리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체 모든 행동을 중지하고 공화국의 영상에 먹칠해들려 하지 말라"며 "자기의 전망적인 안전을 위해서라도 항상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을 향해서는 "남조선것들도 지금처럼 마냥 '용감무쌍'한 척, 삐칠 데 안 삐칠 데 가리지 못하다가는 종당에 어떤 화를 자초하게 되겠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적'의 행동 건건사사를 주시할 것이며 우리에 대한 적대적인 것에 매사 상응하고 매우 강력한 압도적 대응을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은 2019년 3월 12일(현지시간)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의 제재위반 행위가 여전히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영변 5MW 원자로의 활동을 포착한 것이다. 왼쪽 사진 맨 아래쪽에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 있는 것이 보인다. 보고서는 영변 원자로가 지난 2018년 2월과 4월, 4월 중에는 며칠동안 운영을 멈췄다면서, 이는 시설 유지를 위한 활동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과 10월에도 약 2개월간 원자로 운영이 중단됐는데, 이 때 폐연료봉 인출이 이뤄졌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제위 보고서 캡처/뉴시스
    ▲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은 2019년 3월 12일(현지시간)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의 제재위반 행위가 여전히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영변 5MW 원자로의 활동을 포착한 것이다. 왼쪽 사진 맨 아래쪽에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 있는 것이 보인다. 보고서는 영변 원자로가 지난 2018년 2월과 4월, 4월 중에는 며칠동안 운영을 멈췄다면서, 이는 시설 유지를 위한 활동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과 10월에도 약 2개월간 원자로 운영이 중단됐는데, 이 때 폐연료봉 인출이 이뤄졌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제위 보고서 캡처/뉴시스
    김 부부장의 담화에서도 나타나듯이 북한은 핵개발을 추진한 이유로 한미의 '대북 적대시 정책'을 들며 핵을 '방어용 무기'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용준 전 외교부 북핵담당대사는 저서 '북핵 30년의 허상과 진실 한반도 핵게임의 종말'에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생존이나 체제유지 등 방어용이라기보다는 공세적인 대남전략에 따른 것이라는 '공세론'을 소개했다.

    이 전 대사의 저서에 따르면, 북한은 1955년 12월 과학원 내에 최초의 핵연구시설인 '핵물리연구실'을 설립할 정도로 이미 '신흥공업국가'였다. 제국주의 일본이 남기고 간 중공업 시설과 광물·수력자원 등 공업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고, 사회주의 맹주국인 구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남한보다 공업화에 상대적으로 유리했기 때문이다. 당시 북한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남한보다 높았다.

    북한은 △1956년 2월에 소련과 '연합 핵 연구소 조직에 관한 협정'을 △같은 해 3월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정'을 맺고 △핵물리학자 최학근을 소련 드브나(Dubna) 핵연구소에 파견했다. 1961년 쿠바 미사일 사태 이후인 △1962년 영변 원자력연구소를 설립하고 △1963년 6월 소련으로부터 2MW 연구용원자로 IRT-2000을 도입했다. △1964년 2월 영변에 원자력 연구단지를 설립하고 △1965년 IRT-2000 연구용 원자로를 완공해 가동하기 시작했으며, △1979년 영변에서 5MW 실험용 원자로를 비밀리에 건설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