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P ‘2021~2022 인간개발보고서’… “北 상위 1% 소득, 전체 소득의 14.7%”美 전문가 “北 특권층, 뇌물로 권력과 부 유지… 갈수록로 더 심해질 것”
  • ▲ 북한 평양과 시골의 대조되는 모습. ⓒ북한전문매체 '뉴포커스' 제공.
    ▲ 북한 평양과 시골의 대조되는 모습. ⓒ북한전문매체 '뉴포커스' 제공.
    북한의 빈부격차가 한국이나 중국보다 더 심하다는 유엔산하기구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의 북한전문가는 “북한 특권층은 뇌물로 권력을 유지하고 부를 축적하는데 이런 구조가 바뀌지 않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UNDP 인간개발보고서 “北, 상위 1%가 전체 소득 15% 차지”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유엔개발계획(UNDP)이 지난 8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한 ‘2021~2022 인간개발보고서’ 내용을 전했다. 이 가운데 북한을 포함한 유엔 회원국들이 2030년까지 이행하기로 합의한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 중 ‘국가 내부 및 국가 간 불평등 해소’ 항목에 북한의 빈부격차가 소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북한 소득 상위 1%가 전체 소득의 14.8%를 차지했다. 이는 14%인 중국, 14.7%인 한국보다 더 불평등하다. 미국의 19.1%나 전 세계 평균 17.4%보다는 약간 낮았다.

    방송은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으로 31%였으며 유럽 발칸반도 중부에 있는 북마케도니아가 6.5%로 가장 낮았다”고 덧붙였다. “부자 나라일수록 빈부격차가 크다”는 속설이 실제로는 다르다는 점을 보고서는 보여줬다.

    美전문가 “뇌물로 권력 유지하는 특권층이 부를 축적…격차 더욱 심해질 것”

    랜드연구소의 수 김 분석관은 “북한에서는 특권층이 뇌물로 권력을 유지하며 부를 축적하기 때문에 빈부격차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김 분석관은 “북한에서 지속되고 있는 관행이 특권층과 보통 사람들 사이에 발생하는 빈부격차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분석하며 “북한 특권층들은 선물 등을 통해 김정은 일가에 충성하는데, 북한 정권은 김정은을 보호하고 그의 통치에 가시적인 도전이 없도록 하려고 이런 접근법을 계속 사용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북한처럼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전혀 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의 격차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北, 평균 수명, 국민소득, 정치적 성평등 분야서도 평균 이하

    보고서를 보면 북한은 평균수명, 정치 영역에서의 성평등, 출생아 10만 명 당 임산부 사망자 수 등도 세계 하위권이었다.

    북한의 평균수명은 73.3세였다. 83.7세인 한국, 78.2세인 중국, 77.2세인 미국보다 낮았다. 의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17.6%로 미국은 물론 19%인 한국보다 낮아 정치 영역에서의 성평등이 뒤처져있음을 보여줬다.

    또한 신생아 10만 명 당 임산부 사망자 수는 89명으로 11명인 한국, 19명인 미국은 물론 29명인 중국보다도 몇 배는 많았다.

    방송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세계은행과 유니세프, 국제노동기구(ILO),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발간한 22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