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주 학생의거 기념행사, 1970년 초까지만 해도 국가 행사로 열렸다" 강조"종전선언에 목 맨 정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 제안국 3년 연속 빠져" 규탄
  • ▲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과 10여 개 자유시민단체 등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신의주의거 추모탑에서 신의주학생의거 76주기를 기념해 북한과 중국의 인권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강민석 기자
    ▲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과 10여 개 자유시민단체 등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신의주의거 추모탑에서 신의주학생의거 76주기를 기념해 북한과 중국의 인권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강민석 기자
    '신의주 학생의거' 76주년을 맞아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이 23일 서울 중구 장충단로에 위치한 신의주 의거 추모탑 앞에서 제137차 화요집회를 열었다. 한변은 공산독재와 인권유린을 세계 최초로 고발한 신의주 학생의거 정신을 되살려 북한의 인권 개선과 중국의 인권 탄압에 맞서 투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의주 학생의거, 소련군 점령지에서 자유와 인권 외친 항쟁"

    한변은 이날 집회에서 "1945년 11월23일 오후 2시 신의주의 6개 중학교 학생 3500여 명이, 해방군을 자처하며 살인·약탈 등 온갖 만행을 저지르던 소련군과 이를 등에 업은 김일성에 맞서 거리로 나섰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탱크·전투기까지 동원한 무자비한 소련군과 북한군의 탄압으로 24명이 목숨을 잃고 350여 명은 크게 다쳤다"고 소개한 한변은 "체포자는 1000여 명에 달했으며 200여 명은 형을 받고 시베리아로 끌려가 생사가 묘연하다"고 주장했다.

    한변은 신의주 학생의거가 "2차대전 이후 소련군 점령지에서 자유와 인권을 외치면서 일어난 세계 최초의 항쟁으로서 김일성의 간담을 서늘케 하였고, 뒤이은 평양과 함흥 등 북한 지역, 나아가 남한에서의 반공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신의주 학생의거 기념일, 국가 행사로 만들겠다"

    한변은 문재인정부를 향해 "5년이 넘도록 북한인권법을 사문화시키는 것도 모자라 지난해 12월에는 위헌적인 대북전단금지법까지 만들어 세계를 실망시켰다"며 "2019년 11월에는 귀순한 탈북청년 두 명을 몰래 강제북송하는 천인공노할 만행까지 저질렀다"고 규탄했다.

    또 "문재인정부는 오로지 평화를 구실로 종전선언에 목 매여 3년 연속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 제안국에서도 빠졌다"면서 "인권 없는 평화는 무덤의 침묵이요, 신의주 반공 학생의거에 대한 모독"이라고 비판했다.

    한변 사무총장인 하은정 변호사는 통화에서 "신의주 반공 학생의거 76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신의주 의거 추모탑이 위치한 장충동에서 집회를 했다"며 "북한 주민 스스로 세계 최초로 공산 독재에 맞서 싸운 정신으로 북한의 인권 개선과 중국의 인권 탄압에 맞서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 변호사는 그러면서 "신의주 학생의거 기념일을 국가 행사로 추진할 수 있도록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