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관 서버, 한국에 있어…23일 회견서 9월까지 일본으로 개인정보 이전 약속
  • ▲ 지난 23일 도쿄 미나토구에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가진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사장. ⓒNHK 관련보도 화면캡쳐.
    ▲ 지난 23일 도쿄 미나토구에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가진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사장. ⓒNHK 관련보도 화면캡쳐.
    일본인이 가장 많이 쓰는 메신저 ‘라인’이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대국민 사과를 했다. ‘라인’ 측은 그동안 한국에 보관했던 모든 개인정보를 오는 9월까지 일본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했다.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개인정보 대부분 한국에 보관

    ‘라인(LINE)’은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내놓은 메신저다. 월간 이용자는 8600만 명이다. 출시 초기부터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어 지금은 ‘일본 국민메신저’라 불린다. 개인은 물론 일본 정부와 지자체, 기업들도 ‘라인’을 애용한다.

    ‘라인’의 문제는 지난 17일 <아사히 신문> 보도로 불거졌다. 신문은 “라인 측이 중국 업체에게 인공지능(AI) 개발 업무를 위탁했는데, 중국인 개발자가 서버에 보관 중인 이용자 개인정보에 마음대로 접근할 수 있었다”며 일본인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르면, 데이터를 보관한 나라가 어디인지 사용자에게 알려야 하지만 ‘라인’ 측은 그러지 않았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후 일본 언론들은 “라인 측이 일본인 개인정보를 한국에 있는 서버에 보관 중”이라며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다”는 후속보도를 내놨다. 실제로 ‘라인’은 일본 내 서버에는 이용자 메시지, 이메일 주소, 친구 목록, 위치 정보, 주소록 등을 보관했고, 건강보험증 사진과 같은 중요 이미지, 동영상, 앨범, 타임라인, 라인페이 결제정보는 한국 내 서버에 보관했다. 이 사실이 확인되자 방재부, 후생노동성, 오사카부, 히로시마현 등 중앙부처와 지자체들이 ‘라인’ 이용을 중단했다. 결국 ‘라인’ 측은 23일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라인 사장 “이용자 신뢰를 저버린 데 사과…중국법 거스를 수 없었다”

    <산케이 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사장은 23일 저녁 도쿄 미나토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개사과를 했다. 그는 “그동안 이용자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면서 “이용자들의 신뢰를 저버린 점을 매우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 불편과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라인’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생기지는 않았지만 문제가 있었던 것은 맞다”며 “국제적으로 업무를 추진하면서 이것이 문제임을 간과해 온 경우가 많았다”고 거듭 사과했다.

    이번 일에 대한 대책도 내놨다. 이데자와 사장은 “중국에서 일본 서버로 접근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중국 업체에 맡겼던 개발·유지보수 업무도 중단했다”며 “해외(한국)에 보관 중인 이용자 개인정보도 올해 9월까지 모두 일본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6월까지 이용자들의 이미지와 동영상을, 9월까지는 라인 페이 결제 정보 등 모든 데이터를 일본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했다.

    한국은 안전할까…지난해 네이버·삼성전자 논란되기도

    이데자와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중국인 개발자가 일본인 개인정보를 마음대로 들여다보게 된 배경으로 중국의 국가정보법을 지목했다. 중국 국가정보법은 자국에서 활동하는 IT기업의 모든 정보를 당국에서 무제한 열람할 수 있도록 강제하고 있다. 외국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중국 당국은 외국인 개인정보도 쉽게 얻을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틱톡’과 ‘위챗’ 등 중국산 앱을 퇴출하려던 이유도 중국 국가정보법 때문이었다.

    이런 문제는 국내에서도 여러 차례 제기됐다. 지난해 8월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중국산 앱을 모두 삭제하는 게 좋다”는 게시물이 돌았다. <한국경제신문>에 따르면, 당시 게시물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있다고 지목한 앱은 틱톡, 유라이크, 위챗, 메이투, 뷰티플러스, 카메라 360 등 50여 개에 달했다.

    같은 달 <뉴스1>은 “2018년 이후 생산된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탑재된 기본 앱을 통해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갤럭시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중국 보안업체 모바일 백신 ‘360 시큐리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정리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앱이 실행될 때마다 중국에 있는 보안업체 서버로 정보를 송출한다는 설명이었다. 해당 앱은 삭제도 불가능해 논란이 일었다.

    지난해 7월에는 네이버가 도마에 올랐다. 중국이 홍콩에서 국가안보법을 시행하면 홍콩에 있는 네이버의 백업 서버도 마음대로 들여다볼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홍콩 국가보안법에 따르면, 중국 정보기관과 공안은 홍콩 내 모든 기업의 서버를 마음대로 수색할 수 있다. 논란이 커지자 네이버 측은 “7월 들어 홍콩에 있던 서버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있다”고 해명했다.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 페이'의 2대 주주가 알리바바 그룹 계열사인 '앤트 파이낸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