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항의성 채점 거부' 초유 사태… 文정부, 군의관에 국시 채점 의뢰" 부산시의사회 폭로
  • ▲ 부산시의사회가 정부의 국시 연기를 두고
    ▲ 부산시의사회가 정부의 국시 연기를 두고 "선심이 아닌 의대 교수들이 채점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시의사회 페이스북 캡쳐
    정부가 의사 국가고시(국시)를 1주일 연기한 것을 두고 부산시의사회가 "정부가 선심을 쓴 것이 아니라 의대 교수님들이 채점을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폭로해 파문이 예상된다. 정부는 '국시 연기'를 의료계와 대화의 매개로 활용하려는 상황이다. 부산시의사회의 폭로는 이를 향한 정면반박으로 해석된다. 

    부산시의사회는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을 통해 사진 한 장을 게시했다. 사진에는 군인으로 보이는 누군가가 "충성! 의무사령부에서 의사면허 국가고시 채점위원 지시가 내려왔다"며 "지원기간이 내일부터임으로 촉박하게 지원 지시가 내려왔다. 우선적으로 지원자를 받고자 하니 부서원들에게 전파해주시고, 희망자가 있으면 진료행정장교에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다"고 쓴 글귀가 보인다. 글은 "지원자가 없는 경우 제비뽑기로 진행이 됨을 안내해 드린다"고 이어졌다. 

    "국가고시 채점위원을 제비뽑기로 뽑는 나라... 제정신이냐"

    부산시의사회는 사진과 함께 "정부에선 큰 선심 쓰듯 의사국시 1주일 연기를 발표했지만, 실상은 의과대학 교수님들께서 채점을 거부하셨기 때문"이라며 "군의관에게 국시 채점을 맡기는 나라가 정상적인 나라냐. 제비뽑기로 국가고시 채점위원을 뽑는 나라가 제정신인 나라냐"고 질타하는 글을 올렸다. 
  • ▲ 국군의무사령부가 의사 국시 채점위원을 지원을 지시한 공문.
    ▲ 국군의무사령부가 의사 국시 채점위원을 지원을 지시한 공문.
    실제로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는 지난달 30일 의사면허 국가고시 실기시험 운영을 위한 채점위원 지원을 국군의무사령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군 의무사령부는 이에 따라 "오는 9월1일부터 4일까지 국시원에 지원할 전문의 1명을 오후 5시까지 선정해 명단을 통보하라"고 지시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요청한 것은 사실"이라고 답했다. 

    의사 국가고시는 원래 9월1일부터 다음달 27일까지 35일간 진행될 방침이었다. 하지만 지난 8월28일 국시 실기시험 응시자 취소자가  89.5%(3172명 중 2839명)에 달하자 정부가 국시를 1주일 연기했다. 

    조승현 의대협 회장은 1일 서울의사회에서 열린 젊은의사비상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우리는 국시를 미뤄달라고 주장하지 않았고 정책 정상화만 요청했다"며 "정책 정상화까지 국시 거부 및 동맹휴학은 변함 없이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국시 연기와 관련해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다시 한번 의료계에 손을 내민 것"이라며 "어떻게 해서든지 대화를 통해서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현재 진행되는 현안을 해결하겠다는 정부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 ▲ 문재인 정부의 '4대 의료악법 저지'를 위해 파업에 나선 전공의들. ⓒ권창회 기자
    ▲ 문재인 정부의 '4대 의료악법 저지'를 위해 파업에 나선 전공의들. ⓒ권창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