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북한, 원산 인근서 동해상으로 미상 발사체 2발 발사"… 국방부 "대비태세 유지"
  • ▲ 북한이 지난해 10월 31일 실시한 초대형방사포 시험발사 장면. 출처=노동신문ⓒ뉴시스
    ▲ 북한이 지난해 10월 31일 실시한 초대형방사포 시험발사 장면. 출처=노동신문ⓒ뉴시스
    북한이 2일 동해상으로 발사체를 발사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3·1절 기념사에서 북한에 보건분야 협력을 제안한 다음날 보란 듯이 군사도발을 감행한 것이다.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발사체 2발 발사"… 올해 첫 발사체 도발

    합동참모본부 발표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후 강원도 원산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미상의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이 발사체는 230km가량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발사체를 쏜 것은 올해 들어서는 처음으로, 지난해 11월28일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한 뒤 95일 만의 일이다. 

    이날 북한의 발사체 도발은 문 대통령이 남북한 보건협력을 제안한 바로 다음날 감행됐다. 문 대통령은 전날 서울 배화여고에서 열린 제101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우한코로나(코로나-19) 사태 관련 남북 간 협력을 제안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북한은 물론 인접한 중국과 일본, 가까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해야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며 "북한과도 보건분야의 공동 협력을 바란다"고 제안했다.

    文 "감염병 확산에 남북 함께 대응할 때 우리 겨레 안전해질 것"

    문 대통령은 이어 "사람과 가축의 감염병 확산에 남북이 함께 대응하고 접경지역의 재해·재난과 한반도 기후변화에 공동 대처할 때 우리 겨레의 삶이 보다 안전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이 발언에 1일 현재 국내 우한코로나 확진자가 3500명을 넘고, 사망자가 17명에 육박하는 상황에서도 친북 기조를 고수한다는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31일 문 대통령의 모친상 중에도 초대형 방사포를 발사해 여야 모두 유감과 규탄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한편, 합참은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하여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北, 우한코로나로 타격 심각할 수도"… 발사체 도발로 '체제결속 도모' 해석

    이날 발사체 발사를 두고 북한이 우한폐렴(코로나-19)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은 현재 중국과 국경을 차단하고 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있지만, 이것이 북한경제를 더욱 옥죄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생필품 수입마저 차단됐고 방역활동으로 장마당마저 사실상 폐쇄돼 노동당을 향한 불만이 점점 커진다는 진단이다. 이 때문에 김정은 정권이 내부 숙청과 외부 도발로 위기를 타개하려 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29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리만건 조직지도부장과 박태덕 노동당 농업담당 부위원장을 해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당 간부 양성기지에서 엄중한 부정부패 현상이 발생하였다”며 해임 사유를 전했는데, 김정은이 당 공식회의를 통해 핵심 간부를 해임한 것은 2013년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이후 처음이다.

    앞서 지난달 24일 조선중앙방송은 평안북도에 "3000여 명의 의학적 감시대상자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2일 조선일보를 통해 “북한에 코로나 확진자가 대량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은 어수선한 상황으로 인해 주민들의 지도부에 대한 불신이 상당히 커졌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센터장은 이어 "주민들의 당 지도부에 대한 불만을 부정부패한 간부들에게 책임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며 "이날 미사일 발사는 체제 결속과 미국의 연이은 대화 제의에 '우리는 대화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재확인하려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