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중 정서에, 中 자본유입 반발 겹쳐... 폼페이오 "트럼프, G20 때 시진핑에 홍콩 언급할 것"
  • ▲ 홍콩 시위대의 홍콩 정부청사 앞 시위 모습.ⓒ뉴시스.
    ▲ 홍콩 시위대의 홍콩 정부청사 앞 시위 모습.ⓒ뉴시스.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 법안(도주범 조례)'에 의해 촉발된 반정부 시위가 홍콩의 대중(對中) 갈등을 넘어 미중 관계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6일 홍콩에서는 200만 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법안의 완전 철회와 캐리 람 행정장관의 퇴진을 요구했다. 캐리 람 행정장관이 도주범 조례 처리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발표하고 사과까지 했지만, 홍콩 시민들은 법안의 완전한 철회와 람 장관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는 홍콩 민주주의의 후퇴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 시민들은 이번 법안이 홍콩 내 민주화 인사들의 중국 강제 송환에 악용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 홍콩 사회에 저변에 깔려 있는 반중 정서 때문이란 지적도 있다. 

    BBC는 홍콩 시민들의 ‘자유’에 대한 중국의 간섭을 이유로 들고 있다. '일국양제' 체제 자체가 중국 본토에 비해 폭 넓은 자유와 권리의 허용을 전제한다. 하지만 최근 중국이 간섭의 강도를 높여가며 홍콩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대부분의 홍콩 사람들이 자신들을 ‘중국인’으로 여기지 않고 있다는 점도 하나의 이유라는 지적이다. 홍콩대학교의 설문에 따르면, 홍콩 시민들 중 15%만이 자신을 ‘중국인’으로 생각한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자신들을 ‘홍콩 시민’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젊은층에서는 더욱 심해 18-29세의 응답자들 중에선 불과 3%만이 자신이 '중국인'이라고 답했다.

    18세의 마이크라는 이름의 한 시위자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홍콩은 중국의 여러 도시들 가운데 하나가 될 뿐"이라고 밝혔다.

    국제금융센터의 이치훈 중국팀장은 이와 관련, "이번 시위의 근본 원인은 범죄인 인도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 자본 유입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고 중국인들의 유입으로 홍콩 서민들의 일자리가 감소되면서 기저에 깔린 반중국 정서"라고 지적하고, "따라서, 설령 중국 정부의 양보로 이번 사태가 조기에 마무리 되더라도 언젠가 다른 형태로 이 갈등이 표출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홍콩과 중국 간 갈등이 지속되면 홍콩과 심천의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려는 중국 정부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약화된 홍콩의 금융 중심지 기능으로 싱가포르 등이 반사 이익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중국 압박으로 갈등 악화 전망

    이번 홍콩 시위는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 또 다른 갈등 요소가 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 시간) "홍콩의 시위를 이해한다"며 사실상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16일 (현지 시간)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달 28~29일  G20정상회담 때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주석에게 홍콩 문제에 대해 언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치훈 팀장은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시위를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고 미국은 이를 중국을 압박하려는 명분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홍콩 시위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 사태가 지속되어 중국이 경제·정치적으로 불안정해질 경우 아무래도 중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우리 경제의 안정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는 있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