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文 '친기업'에 홍영표 '찬물'... 與 '경제코드' 오락가락

"삼성 1위는 협력업체 쥐어짠 결과" 홍영표 민주 원내대표, 소득주도성장-경제민주화 고집

입력 2018-07-13 16:05 수정 2018-07-14 13:58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문재인 정부의 최근 '친기업' 코드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이 여당에서 나왔다. 이번엔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다. 그는 "삼성이 글로벌 1위 기업이 된 것은 1∼3차 협력업체들을 쥐어짜고 쥐어짠 결과"라고 말했다.

13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의 주최로 열린 한국여성경제포럼에 참석한 홍 원내대표는 이 같이 말했다. 지난 9일 문재인 대통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나 더 많은 투자와 고용을 부탁한 지 정확히 4일만이다. 

홍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어김없이 '경제민주화' 주장을 폈다. 홍 원내대표는 "지난 1996년부터 2016년까지 20년간 우리나라 가계소득은 8.7% 감소했지만 기업소득은 8.4% 증가했다. 삼성이 글로벌 기업이 되는 동안 우리나라 가계는 더 가난해졌다"며 "한국기업의 임금소득 기여도는 굉장히 낮은데도 기업의 조세부담은 오히려 가계에 비해 낮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홍 원내대표는 "삼성이 작년에 60조원의 순이익을 냈는데 여기서 20조원만 풀면 200만명한테 1천만원을 더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당 원내대표가 사기업으로 하여금 벌어들인 영업이익을 아무 조건없이 분배하라고 이야기한 것이다.

또 그는 "대기업의 단가 후려치기 등을 근절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며 기존에 민주당이 취해오던 대기업관을 그대로 보여줬다. 

논란이 되는 소득주도성장에 대해서도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홍 원내대표는 "마치 소득주도성장 때문에 '고용 쇼크'가 발생했다는 지적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문재인 정부 책임론을 일축했다. 또 ""20대 전반기 국회는 식물국회, 방탄국회의 연속이었다"며 야권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같은 홍 원내대표의 발언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친기업 행보와 혁신성장 주문 등과 배치되는 주장이어서 여권의 경제 위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논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단독]'이동관 아들 학폭 의혹' 제기 하나고 교사, 중국에 있다... 신문에 '이재명 지지' 칼럼도 써

핫이슈

[단독]'이동관 아들 학폭 의혹' 제기 하나고 교사, 중국에 있다... 신문에 '이재명 지지' 칼럼도 써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진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아들의 학교폭력 의혹을 최초로 제기한 전경원 하나고 교사에게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그가 현재 중국의 한인국제학교에서 교사로 근무 중인 사실이 확인됐다.9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 교사는 ..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