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델란드와 스위스 중앙은행에서 조달한 스위스 프랑, 유로화 4억 달러 비밀리에 수송”
  • ▲ 美WSJ는 지난 3일(현지시간) 美정부가 올해 1월 아무런 표식도 없는 수송기에 4억 달러를 실어 몰래 이란에 보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미국 내에서는 이 '4억 달러'가 새로운 정치적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美WSJ 관련보도 화면캡쳐
    ▲ 美WSJ는 지난 3일(현지시간) 美정부가 올해 1월 아무런 표식도 없는 수송기에 4억 달러를 실어 몰래 이란에 보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미국 내에서는 이 '4억 달러'가 새로운 정치적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美WSJ 관련보도 화면캡쳐


    2015년 7월 이란은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독일과 ‘핵무기 개발 포기’를 합의했다. 대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과 독일은 對이란 제재를 풀기로 했다. 일명 ‘이란 핵합의’가 이뤄진 것이다. 하지만 ‘이란 핵합의’의 배경을 놓고, 일각에서는 여전히 음모론이 나오고 있다.

    ‘이란 핵합의’와 별개의 음모론도 있다. 올해 초 美정부가 아무런 표식도 없는 화물기를 이란으로 보낸 일 때문이다. 이 화물기에는 스위스 프랑, 유로화 등이 4억 달러 실려 있었으며, 이 돈은 美정부가 이란에 지불한 미국인 인질 4명의 몸값이라는 주장이었다.

    지난 3일(현지시간) 美‘월스트리트 저널(WSJ)’은 “美정부가 올해 초 아무런 표식이 없는 화물기로 이란에 4억 달러의 현금을 몰래 실어 날랐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화물기에는 나무 상자에 든 스위스 프랑, 유로화가 가득 담겨 있었으며, 美정부 관리는 네델란드와 스위스 중앙은행을 통해 이 돈을 조달했다”고 설명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美정부가 이란에 보낸 돈은 1979년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기 전 팔레비 정권이 미국에 건넨 무기 대금과 그동안 동결했던 이란 자산의 일부로, 양국은 올해 초 17억 달러를 반환하기로 약속했었다”면서 “이란에 보낸 4억 달러는 이 가운데 일부”라는 美고위 관리의 이야기를 인용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또한 “미국인 석방과 자금 전달은 전혀 별개의 사안으로, 美정부가 비밀리에 거액의 돈을 이란에 보낸 시기와 이란이 억류했던 미국인 4명을 석방한 시기가 묘하게 비슷한 것은 우연의 일치”라는 美정부 고위관리와 존 커비 美국무부 대변인의 주장도 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하지만 “오바마 정권이 (공적으로) 내세우는 이란 핵 합의는 사실 미국인의 몸값으로 17억 달러를 이란 아야톨라에게 지불하는 협상이었다”는 美공화당 톰 코튼 상원의원(알칸사스州)의 주장도 함께 전해 논란이 해소되지는 않았음을 설명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또한 “이란 국방부 고위장교를 인용한 이란 매체 보도에 따르면, 美정부가 전달한 돈은 미국인 인질의 몸값이라고 한다”면서 “이 같은 보도에 대해 물었지만 이란 외무부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3일자 보도에서 美정부가 이란에 보낸 4억 달러의 현금을 둘러싼 의혹과 美정부 관계자들의 해명을 모두 전달했다. 하지만 특정 정당의 편을 들지는 않았다.

    ‘월스트리트 저널’의 보도가 나오자 이를 정치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였다. 트럼프는 같은 날 자신의 트위터에 “무능한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이 이란에 현금 4억 달러를 주자는 협상을 시작한 사람”이라는 트윗을 올린 것이다.

    트럼프의 주장은 자신을 향한 미국인들의 비난과 공격을 모두 상쇄하지는 못했지만, 일부 언론의 눈길을 끌었다. 존 케리 美국무장관이 매듭지은 ‘이란 핵합의’를 처음으로 구상하고 실행계획을 설계한 것이 美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이었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4억 달러 이란 수송’을 문제 삼은 것은 미국과 이란 정부가 공식 합의한 사항이라면, 당당하게 일반 화물기로 수송해도 되는데 왜 아무런 표식이 없는, (정보기관의 비밀공작용) 수송기를 사용해 심야에 보냈느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이란 핵합의’와 美정부의 거액 전달이 ‘힐러리 트럼프’의 설계에 따른 것이라면, ‘이메일 스캔들’에 이어 힐러리의 발목을 잡을 호재로 사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오바마 정권과 美민주당의 ‘깡패 국가’ 대응법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깊이 인식시킬 수 있다는 계산에 따라 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