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자금법 위반자와 위헌정당이 손잡고 만들어냈던 비정상, 이제는 끝내야 한다
  • ▲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관훈토론회가 야권 연대와 총선 후보 단일화에 대한 무의미한 질문과 답변으로 점철되며 시간 낭비로 끝났다.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에서 패널로 나선 고희경 SBS 기획부장, 박민 문화일보 정치부장, 최상연 중앙일보 논설위원, 이태규 한국일보 정치부장 등은 안철수 대표에게 야권 연대에 응할 가능성과 불응할 경우의 책임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질문했다. 심지어 이 과정에서 안철수 대표 본인의 지역구인 서울 노원병의 상황까지 거론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안철수 대표는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지지층의 구성이 다르다"며 "가정법으로 만약에 단일화됐다 해도 (국민의당의) 기존 지지자들이 더민주를 찍겠는가? 그 효과는 굉장히 작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과 구 통진당 간의 후보단일화 사례를 거론했다. 당시 '야권 연대'는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구치소에 수감돼 있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주도해, 헌법재판소의 위헌정당해산판결로 해산된 구 통진당과의 사이에서 이뤄졌다.

    한명숙 친노 민주통합당과 위헌 구 통진당은 워낙 초록이 동색이기 때문에 '연대'가 가능했다는 설명이다. 안철수 대표도 "19대 총선에서 민주당과 통진당의 후보단일화는 거의 대부분이 그 (표 이동) 효과를 봤겠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말했다.

    아울러 "합쳐도 2등을 하고 만년 야당에 머무르는 이러한 구조는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의 지역구인 서울 노원병에서도 "3년 간의 의정활동으로 평가받고, 연대 없이 정면 돌파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그런데 이는 전혀 새롭지 않은 내용이다. 이미 "야권 연대는 없는 것"으로 다 정리된 사안에 대해 끊임없이 묻고 답하는 동어반복과 시간 낭비가 벌어졌다. 심지어 취재진들은 관훈토론을 끝내고 퇴장하는 안철수 대표에게까지 따라붙어 '야권 연대'와 관련한 질문들을 던졌다.

    마치 사람을 가둬놓고 끊임없이 "네가 그랬지?" "네가 그런 것 아니야?" "왜 그랬어?"를 반복해서 따져묻는 것 같다. 취재인지 취조인지 분간할 수 없을 지경이다.

    안철수 대표에게 다른 궁금한 점이 있는 국민들이 많았을텐데, 지긋지긋하기 짝이 없는 '야권 연대' 낡은 레코드가 끊임없이 돌아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

    독자적으로 총선을 치를 능력이 없고 이길 역량이 없는 '불임 정당'이다보니 끊임없이 '연대'에만 목을 매게 되는 것이다. 싫다는 상대에게 끊임없이 구애하며 바짓가랑이를 붙들고 늘어지는 제1야당의 모습이 보기 안쓰럽다.

    하지만 '야권 연대'를 하지 않는 게 무슨 큰일이 난 것처럼 끊임없이 물어대는 언론에게도 적잖은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다.

    선거란 기본적으로 A당·B당·C당·D당·E당이 각자 좋은 후보를 내서 유권자의 선택을 구하는 과정이다. 이번 총선만 해도 종전이라면 계파패권에 찌든 기존 양당의 공천 과정에서 배제됐을 참신하고 능력 있는 후보들이 기호 3번을 달고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아졌다. 다당 경쟁의 구도에 따른 순기능이다.

    그런데 언론의 보도 태도가 이른바 '야권 연대'가 안 이뤄지고 있는 게 무슨 대단히 비정상적인 상황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으니 국민들은 혼란에 빠질 우려가 높다.

    이런 논조라면, 산업부 기자들은 왜 오뚜기와 삼양이 농심에 대항해서 연대하지 않는지, 왜 남양유업과 빙그레는 매일유업을 넘어서기 위해 '단일화'하지 않는지 취재하고 다녀야 할 판이다.

    이미 관훈토론에서 많은 시간이 이 '야권 연대'를 둘러싼 질문과 답변으로 비생산적으로 낭비됐다. 이 비정상적인 상황을 이제는 끝내야 한다. 정치자금법 위반자와 위헌정당이 손잡고 만들어냈던 '야권 연대'라는 게 이제는 없는 것으로 돌아간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각 지역구 별로 능력 있고 참신한 후보를 조명해 유권자의 선택을 도울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