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연방우주청-EU 우주국(ESA) ‘루나 27 계획’ 추진 중…中, 2030년 유인 달 탐사
  • ▲ 1969년 7월 20일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 탐사선과 우주인. ⓒ美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 공개사진
    ▲ 1969년 7월 20일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 탐사선과 우주인. ⓒ美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 공개사진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 우주인들이 달에 첫발을 디딘 것을 시작으로 인류가 달에 발을 디딘 것은 6번이다. 모두 미국인이었다.

    1972년 12월 아폴로 17호를 마지막으로 인류는 달에 사람을 보내지 않았다.

    40년이 넘게 흐른 최근,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달 탐사를 준비 중이라고 BBC, 텔레그라프 등 英주요 언론들이 지난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英언론들이 전한 내용은 러시아 연방우주청(로스코스모스)이 이르면 2017년부터 달의 남극에 탐사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며, 유럽 우주국(ESA)와 협력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의 달 탐사기지 건설 계획은 ‘루나 27’이라고 부른다.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러시아의 루나 계획에 따라 달에는 암석에 포함된 형태로 산소와 물 등 인류가 생존할 수 있는 자원이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나 분석은 이미 많이 나왔다. 특히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헬륨3’는 상당량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우선 사람이 달에 영구적으로 거주하면서 탐사를 할 수 있는 자원들이 있는지를 확인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이 달의 남극지대부터 탐사하기로 한 이유는 지역의 특성상 태양광이 거의 들지 않아 다양한 자원들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을 것이라는 추측 때문이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은 2016년 하반기에 EU 관계 장관들과 회의를 갖고 ‘루나 27 계획’을 위해 어떻게 협력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정할 예정이라고 한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은 EU의 우주기관인 ESA와 함께 이르면 2017년 달의 남극에 탐사로봇을 실은 우주선을 보내고, 2030년에는 달에 유인 탐사선을 보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 EU의 우주개발국(ESA)이 구상 중인 달 영구거주 기지 구조. 몇 년 이내에 러시아와 EU가 함께 이런 기지를 달에 지을 것으로 보인다. ⓒEU의 ESA 공개사진.
    ▲ EU의 우주개발국(ESA)이 구상 중인 달 영구거주 기지 구조. 몇 년 이내에 러시아와 EU가 함께 이런 기지를 달에 지을 것으로 보인다. ⓒEU의 ESA 공개사진.


    러시아와 EU가 서로 협력해 달 기지를 건설한다는 이야기는 한국에서는 생소하지만, 세계적으로는 강대국들이 달 탐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中공산당의 경우 이미 세계에서 세 번째로 유인 우주선을 발사한 바 있고 2013년 12월에는 달에 탐사위성 ‘창어 1호’를 착륙시키기도 했다. 中공산당은 우주개발에 많은 예산을 꾸준히 투입, 2030년에는 달에 사람을 보낸다는 계획을 세워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과 인도 또한 달 유인탐사를 위해 노력 중이다.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국(JAXA)은 2007년 9월 달 탐사위성인 카구야 1호를 발사한 데 이어 2018년에는 카구야 2호를 쏘아 올릴 예정이다.

    인도는 2008년 10월 달 탐사위성 ‘찬드라얀 1호’ 발사에 성공했다. 인도는 위성발사 비용이 미국과 비교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향후 우주개발에서의 ‘다크호스’로 꼽히고 있다.

    한편 한국은 2007년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달 탐사계획을 세웠으나 이후로는 별 다른 진전이 없었다.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2017년까지 달 탐사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지만, 이후 정치권과 관료사회, 언론의 무관심으로 2017년에 저급 인공위성인 ‘시험용 궤도선’을 보낸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한국한공우주연구원의 연간 예산이 3,000억 원 남짓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한국의 달 탐사는 자체 우주개발기술의 부족, 정치권과 관료 사회, 언론 등으로 인해 앞으로 계속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