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심정지환자 퇴원생존율 꾸준히 높아져
  • ▲ ▲ 서울 관악소방서 소방안전체험실에서 실시된 심폐소생술 교육 장면. ⓒ 연합뉴스
    ▲ ▲ 서울 관악소방서 소방안전체험실에서 실시된 심폐소생술 교육 장면. ⓒ 연합뉴스

    심폐소생술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심정지 환자의 퇴원생존율이 지난 4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폐소생술을 모르는 사람도 119에서 전화로 알려주는 대로 응급처치를 시행해 환자의 자발순환(심장이 스스로 뛰어 맥박이 느껴지는 상태)을 이끌어내는 경우도 늘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2014년 구급활동현황을 분석한 결과, 심정지환자가 전년대비 3.1%증가한 30,309명으로 나타났다”며 “이 중, 심폐소생술 응급처치를 받고 병원도착 전에 심장 맥박이 회복된 환자는 전년대비 0.8% 높아진 5.3%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안전처에 따르면 2013년 33.1%였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4년 8.7% 증가한 41.%로 나타났다. 아울러 119상황실 등으로부터 전화로 도움을 받아 시행한 경우가 81.7%로 나타나 스스로 시행(15.6%)한 경우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응급의학전문의·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국민안전처 중앙구급품질관리지원단’의 구급활동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를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났다.

    심정지 발생 후 4분이 경과되면 뇌 속의 산소가 고갈돼, 급격한 뇌손상이 초래되고 10분이 지나면 소생가능성이 희박해진다.

    안전처는 “신고자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급상황관리사의 전화도움을 강화하는 한편,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활성화를 위해 국민들에 대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펌뷸런스(구급장비를 탑재한 소방펌프차) 운영을 통해 현장 도착시간을 단축하고 구급차 다중출동시스템과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을 복지부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등 구급대원의 전문응급처치 대응능력 제고에 힘써왔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안전처 관계자는 “주변에서 의식이 없고 숨을 쉬지 않는 심정지 환자를 목격했을 때, 즉시 119에 신고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심폐소생술을 배우지 않았더라도 119에서 전화로 알려주는 심폐소생술을 잘 따라하면 우리나라도 선진국 만큼 퇴원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