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압수수색, e지원-봉하마을 자료 분석 돌입 28명에 4억원 장비 투입..참여정부 관계자 소환 예정
  •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을 위해 16일 오전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한 달 이상 매일 출퇴근 형식으로 열람을 진행할 계획이다.ⓒ연합뉴스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을 위해 16일 오전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한 달 이상 매일 출퇴근 형식으로 열람을 진행할 계획이다.ⓒ연합뉴스

    <2007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국가기록원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16일 오전 9시45분쯤
    경기 성남시 국가기록원에 도착, 
    12시간 넘게 자료 분석 및 복제 작업을 벌였다.

    중앙지검은,
    사안의 방대함과 중대성을 감안,
    검사 6명과 디지털포렌식요원 12명 등
    총 28명을 투입했다.

    정확한 자료 분석을 위해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DFC)가 보유한
    국내 유일의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4억원)도
    동원됐다.

    검찰은 이날
    전자기록물을 분석하는 디지털포렌식팀과
    비(非)전자기록물 열람을 담당하는 수색팀으로 나뉘어
    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의 압수수색 대상은,
    남북대화록과 관련된 녹음테이프-CD 등 출력물 자료가 보관된
    대통령기록관 서고,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팜스·PAMS),
    e지원(e知園·참여정부 청와대문서관리시스템)의 사본, 
    봉하마을에서 국가기록원에 제출한 e지원 사본, 
    이지원에서 팜스로 이관하는 과정에 쓰인
    외장하드 97개 등이다. 



  •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가 16일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하는 가운데 국내에 한대밖에 없는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이 국가기록원에 주차돼 있다.ⓒ연합뉴스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가 16일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하는 가운데 국내에 한대밖에 없는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이 국가기록원에 주차돼 있다.ⓒ연합뉴스

    검찰은,
    외장하드와 팜스,
    백업용 e지원 사본,
    봉하마을에서 관리했던 e지원 사본을 이미징(원본 전자 복사)했지만,
    분량이 많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
    이번 주말까지 이미징 작업을 계속할 방침이다.

    "오늘 압수수색은 자정을 넘길 것 같다.
    이번주 토요일과 일요일도
    국가기록원과 협의해

    압수수색을 진행할 것이다."

      -검찰 관계자


    검찰 수사팀은
    압수수색이 최소 한 달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밤 늦게까지 열람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야간 압수수색 영장도 발부받은 상태다.

    이에 따라 압수수색팀은
    한 달간 매일 국가기록원에 출퇴근하며
    오후 10시까지 기록물 열람 및 분석 작업을
    진행키로 했다. 

    대화록 삭제 등을 밝히기 위해선
    로그기록이나 삭제 흔적을 면밀하게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다소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완료되는 대로
    사초 실종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참여정부 핵심 관계자들을
    차례로 소환할 계획이다. 

    "대화록 이관이 안됐다면,
    어떤 단계에서,
    어떤 경위로 안됐는지,
    이관 전에 삭제·폐기된
    흔적이 있는지

    모두 봐야한다."

       -검찰 관계자


    한편 검찰이 국가기록원을 압수수색한 건 
    지난 2008년 8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가기록물 유출] 사건 이후 
    5년 만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