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정권과 차별화 위한 선전도구 삼지 않겠다는 의미
  •  

  • ▲ 제 18대 박근혜 대통령의 행정부는 ‘박근혜 정부’로 불리게 됐다. ⓒ 이종현 기자
    ▲ 제 18대 박근혜 대통령의 행정부는 ‘박근혜 정부’로 불리게 됐다. ⓒ 이종현 기자

     

    제 18대 박근혜 대통령의 행정부는 ‘박근혜 정부’로 불리게 됐다.
    언론에서 편의상 박근혜 당선인의 새 정부를 ‘박근혜 정부’로 표현해 온 것과 별개로 차기 정부에서 정식 명칭으로 채택됐다.

    대통령 이름을 정부의 간판으로 내건 것은 이명박 정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인수위는 6일 정부 명칭을 발표하며 “정부가 스스로 명칭을 정하는 일은 어색하다”고 했다.
    동시에 “해외에서 별도의 정부 명칭을 사용하는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의 예를 살펴보면 부시 행정부, 클린턴 행정부로 통하지 고정된 수식어는 달리쓰지 않는다.

    반면에 우리 정부는 스스로 명칭을 정하는 일에 ‘익숙해’ 있다.

    역대 정권에 ‘명칭’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 요소였다.
    1987년 직선제로 개헌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정부 이름에는 숫자가 따라다녔다.

    이승만 정부는 제 1공화국, 윤보선 정부는 제 2공화국… 등의 방식이었다.
    1987년 직선제 개헌이 이뤄진 노태우 정부의 6공화국을 끝으로 숫자 명칭에도 종식이 찾아왔다.

    대신 ‘브랜드’가 접목됐다.
    이전 정권과 차별화를 위한 일종의 선전도구로 정부 명칭이 적극 활용된 것이다.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은 ‘군인이 아닌 첫 대통령’이라는 뜻에서 문민정부를 택했다.
    ‘박정희 - 전두환 - 노태우’를 잇는 군인대통령의 역사를 끊었다는 자부심이 묻어나는 이름이었다.

    ‘브랜드’ 열풍은 계속됐다.
    헌정사상 최초로 여야 간 정권교체를 이룩한 김대중 정부는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의미를 심어주기 위해 ‘국민의 정부’로 지었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들의 자발적인 모금과 선거운동이 대선 승리의 발판이라고 판단했다.
    국정운영에도 국민의 참여를 최우선순위에 두겠다는 뜻에서 ‘참여정부’로 정부 이름을 정했다.

    상징적 의미로 계속된 정부 명칭 ‘브랜드화’는 이명박 대통령에서 종지부를 찍었다.
    이 대통령은 2008년 자신의 이름을 붙여 새 정부 이름을 지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실용정부’, ‘글로벌정부’ 등을 검토했지만,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 철학에 어긋난다”는 의견에 따라 ‘이명박 정부’를 택했다.

    정부의 이름을 정하는 일이 국정목표나 지향점을 보여주는 측면보다는 용두사미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김대중 정부가 역대 어느 정부보다 국민에게 주권을 줬는지, 노무현 대통령이 역대 어느 정부보다 정책 등 다방면에 있어 국민의 참여를 먼저 뒀는지에 판단은 사람들에 따라 극명하게 갈린다.

    박 당선인 측 한 관계자는 “인수위 내부의 의견도 반영됐지만 박 당선인이 별다른 명칭을 정하길 원치 않았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민생·행복·복지 등 새 정부를 상징하는 단어들은 많다. 보여주기식으로 이름으로 차별화를 꾀한다는 점은 박근혜 당선인과는 안어울리지 않느냐”고 말했다.

    박 당선인 역시, ‘민생정부’ ‘국민행복정부’ 등을 최종 후보군에 올려두고 최종선택까지 저울질 했다고 한다. 

    정권교체에 따른 ‘선전’이나 ‘차별화’를 위해 정부 이름까지 끌어들일 필요는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