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처리 시설을 발견한 게 아니라 전체적 흐름 감시 중"채광, 분리, 제련 등 여러 과정에 대해 감시 중…지하시설은 ‘노 코멘트’
  •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HEU) 프로그램에 관련된 시설들을 첩보위성 등을 통해 파악하고 있다. 정확하지는 않으나 북한이 ‘원심분리 재처리 시설’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감시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의 이야기다. 21일 일부 언론이 “북한에 HEU 시설이 여러 개 있는 것을 첩보위성으로 확인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설명하면서 나온 이야기다.

    21일 발간된 ‘2012 국방백서’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한미 양국은 북한이 현재까지 재처리 시설을 통해 40kg 가량의 플루토늄을 확보했고, 2010년 11월 지크프리드 해커 박사에게 ‘원심분리 재처리 시설’을 공개한 것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공개된 것 외에 상당한 규모의 HEU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의심한다는 말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그러나 “재처리 시설은 보통 산 지하 깊숙한 곳에 있어 첩보위성으로 확인이 어렵지만 전체 프로그램 중 다른 과정을 감시하면서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정권 차원의 지원 아래 HEU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HEU 프로그램은 보통 우라늄광 채굴→제연→1차 처리→원심분리 재처리의 과정을 거친다. UF6를 재처리하는 원심분리기 시설은 보통 산악지대 지하 100m 아래의 깊은 땅 속에 있어 첩보위성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이미 레이저 농축 재처리 기술을 갖고 있다. 하지만 유엔의 감시를 피해야 하고 전력난까지 겹친 상태인 북한은 1천㎡ 미만의 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 재처리 기법을 선호한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로 현재 한미 양국은 북한이 지그프리드 해커 박사에게 공개한 원심분리기 재처리 시설 외에 또 다른 재처리 시설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커 박사가 이야기한 것 외에도 몇 가지 추측되는 것이 있지만 여기에 대해 공개적으로 확인을 해줄 수는 없다.”

    국방부 관계자의 이야기에 군 안팎에서는 "대북정보역량 중 '인간정보(HUMINT)'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