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단체들은 8일 북한의 임진강 댐 방류를  "수공만행"으로 규정하며 정부의 강력한 조치를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은 전날에도 한 목소리로  "북한이 휴일 새벽에 대한민국을 향해 비인도적 물폭탄을 퍼부었다"(향군) "핵 폭탄에 이어 물폭탄"(국본) "수공(水攻)으로 무고한 생명 앗아가고도 감감무소식, 이게 바로 북의 실체"(바른사회)등 규탄에 나선 바 있다.

    자유시민연대(공동대표 송영인)는 이날 논평에서 "또 다시 동족을 물 먹인 북한"이라고 성토했다. 자유시민연대는 "북한이 이번에는 진짜 물을 먹여 인명을 앗아가는 만행을 저질렀다"며 "경보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은 우리 대비태세에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무단방류한 수공성(水攻性) 저의가 크다"고 했다. 또 "북한에 사과와 적절한 피해보상, 확실한 재발방지책 제시와 이행을 강력히 요구한다"면서 불응시 정부에 대북협력사업 재개를 중단할 것도 촉구했다.

    한국자유총연맹(총재 박창달)은 이날 논평에서 "북한의 이번 도발은 1997년 유엔총회의 '국제 수로의 비항행적 이용법에 관한 협약'을 전면 위반하는 행위"라며 "북한은 사과해라"고 규탄했다. 자유총연맹은 "지난6일 새벽 임진강 상류 황강댐 문을 열어 4000만톤 물폭탄을 남쪽으로 쏟아내 인명피해를 초래한 북한 행동을 대한민국에 대한 수공으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정확한 원인규명과 엄중한 책임자 문책"을 촉구한 뒤 "북한의 전방위적 도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라"을 주문했다.

    라이트코리아(대표 봉태홍)는 성명에서 "도당(徒黨)과 무슨 거래를 하겠다는 말인가"라고 따졌다. 라이트코리아는 "물불 안가리는 북의 만행을 보여준 사태"라며 "북한은 신뢰하고 대화할 상대가 아니라 한치도 방심않고 감시해야 할 우리의 적임을 다시 한번 입증해 준 사건"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북한이 사과하지 않으면 대북사업과 인도적 지원도 중단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