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지구가 뜨거워 지고 있다!

입력 2006-11-05 21:42 수정 2006-11-05 22:16

지구가 뜨거워 지고 있다. 인간의 활동에 의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다른 기체 농도가 증가함으로써 지구기상이변의 가능성은 오늘날 환경문제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이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온실의 유리가 태양광선의 열에너지를 붙잡는 것처럼 대기권으로 들어온 태양광선의 열에너지를 붙잡는 역할을 하고 이산화탄소 메탄 프레온 이산화질소 오존 등이 대기권으로 들어온 태양열을 붙잡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온실효과기체'라고 하며 대기 중에서 온실효과기체의 농도가 증가하면, 지구의 온난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이들 기체의 농도증가는 특히 전 지구적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관심의 대상이 된다.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 중에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비율(56%)이 다른 기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특히 산림 축적이나 산림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지구상의 대부분 산림은 이와 같은 평균기온의 급격한 변화에 적응하기 곤란할 것이고 특히 급격한 온도 상승은 성숙된 산림을 전멸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종자의 발아를 불가능하게 하여 후계림의 발생을 억제시켜 산림의 쇠퇴 현상이 지구 전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산림벌채의 감소, 집약적인 경영과 보호로 산림의 생산성 향상, 새로운 산림 조성 등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산림 조성과 경영 및 보호 방법을 보다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만 해도 이상기온과 몇년동안 반복되는 국지성 호우에 의한 피해 등으로 지구 온난화 현상을 피부로 느끼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유럽 미주지역의 폭염 폭설 및 한파 홍수 우박 등 기상재해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남극의 빙하가 녹고 있음을 뉴스 등 언론매체를 통해서도 자주 접했을 것이다.

우리는 지구가 더워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탄소배출권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의 3분의 2가 산림이다. 우리나라가 이를 충분히 활용하고 '탄소 흡수원 확충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고 성공적인 산림녹화로 신규조림 면적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로서는 최선의 방법은 숲가꾸기를 확대해 건전한 숲을 조성하여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최우선 일 것이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전·충청·세종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선거방송 관리, 방심위→ 선관위로 옮기는 건 위헌적"… 박성중, 민주당에 경고

핫이슈

"선거방송 관리, 방심위→ 선관위로 옮기는 건 위헌적"… 박성중, 민주당에 경고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선거방송 심의 기능'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옮기는 법 개정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박성중 의원이 "민주당이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명한 중앙선관위원장에게 선거방송 심의 전권을 넘..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