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 재건축 현장. ⓒ뉴데일리DB
    ▲ 아파트 재건축 현장. ⓒ뉴데일리DB
    '4월 위기설'이 건설업계, 나아가 부동산시장 전반을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를 겪고 있는 건설사들이 총선이후 대규모 부도 사태를 맞을 것이라는 게 위기설의 골자다.

    불안은 또다른 불안을 낳고 있다.

    얼마전 '4월 법정관리업체 명단'이라는 제목으로 출처불명 지라시가 도는가 하면 언론에선 관용어구마냥 '4월 위기설'이란 단어를 쏟아내고 있다.

    증권사 리포트 등을 통해 태영건설 다음 타자로 지목된 몇몇 건설사들은 조리돌림하듯 세간의 입방아에 오르내렸다.

    건설업황이 전례없이 악화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고금리와 공사비 인상, 미분양 적체 등이 겹치며 적잖은 건설사들이 자금경색을 겪고 있는 것도 팩트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 전후로 적잖은 중견·중소건설사가 문을 닫았다. 지난 27일엔 시공능력평가순위 122위 선원건설이 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지며 위기감이 가중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업계내 불안감을 경쟁하듯 증폭시키는 작금의 상황은 과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최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4월 위기설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근거가 뭔지 오히려 반문하고 싶다"는 답변을 내놨다.

    무분별하게 확산된 불안감과 공포심은 건설사들의 재기를 위한 의지까지 꺾어버릴 수 있다.

    모든 시장이 그렇지만 특히 부동산은 '심리'가 큰 변수로 작용한다.

    더욱이 자산 70%가 부동산에 매여있고 투자액수도 크기 때문에 불안심리가 확산할수록 수요자들은 더욱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게 된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미분양 리스크가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 이후 심화한 것도 이 때문이다.

    불안감 탓에 꺾인 수요는 대규모 미분양을 초래하고 이는 건설사들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키는 주원인이 된다.

    재무건전성에 비상이 걸린 건설사는 당연히 신규 투자와 신사업 진출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수주경쟁력이 제자리걸음에 머무는 것은 당연지사다.

    특히 미분양 단지가 한곳만 나와도 존폐 위기에 내몰리는 중견·중소건설사에게 이같은 불안감 확산은 독약이나 다름 없다.

    부동산시장은 호황과 불황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사이클 구조를 띤다.

    현재의 시장 침체도 언제나 그랬듯 호황기가 끝나고 자연스럽게 찾아온 것이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자잿값 인상, 고금리 등 악재가 복합적으로 겹쳐 시장 체감도가 높을 뿐이다.

    태영건설 사례처럼 시장 호황기에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했거나 오너일가가 '사욕'을 부린 기업은 알아서 도태될 것이다.

    다만 지역 중견·중소사 경우 공공공사 입찰에서 참여비중을 늘리는 등 선별적인 정부 지원은 필요하다.

    애초에 '4월 위기설'이 퍼진 것도 정부가 총선이후 PF사태 해결에서 손을 뗄 것이라는 불안감이 확산됐기 때문이다.

    금리 같은 외부변수는 통제할 수 없지만 가라앉은 심리는 회복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언젠가는 시장이 회복될 것이라는 시그널을 정부가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 건실한 건설사는 불황을 극복하고 재기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판을 깔아줘야 한다.

    이번 부동산위기 및 PF사태가 부실건설사 퇴출, 건설업 전반 체질 개선을 통해 'K-건설'이 재도약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