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 대상 ‘만수대창작사’ 작품 베이징서 판매” 국내외 언론들 수년째 지적UN 안보리 대북제재위 전문가 지적에도… 중국 “유엔 대북제재 준수하고 있다” 주장만
  • ▲ 2018년 10월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만수대 창작사 작품을 구경하고 있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8년 10월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만수대 창작사 작품을 구경하고 있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채널A가 지난 21일 “중국 베이징 중심가에서 대북제재 대상 품목인 북한 만수대창작사의 미술품이 버젓이 팔리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이 대북제재에 북한 미술품 판매 금지를 포함한 것은 2017년 8월이었다. 이후 “중국에서 만수대창작사 작품이 거래된다”는 지적이 나왔으나 중국은 이를 단속하거나 제재하지 않았다.

    채널A “베이징 798예술구 소재 만수대창작사 미술관, 작품 판매 중”

    방송은 “중국 베이징 798예술구에 있는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직속 외화벌이 조직 ‘만수대창작사’의 미술관을 방문해 확인해 보니 각종 작품을 판매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만수대창작사 관계자는 미술관에 전시된 모든 작품이 판매용이라고 밝혔다. 가장 비싼 작품은 북한 남녀가 묘목을 든 77cm 높이의 조형물로 400만원이었다고 방송은 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8년 8월 대북제재 결의안 2371호를 통해 노동당 직속 외화벌이 기구인 만수대창작사 작품의 거래를 금지했다. 

    방송은 “(만수대창작사가) 벌어들인 돈은 지난 10년간 1900억원에 이를 정도”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만수대창작사는 유엔의 제재 대상이 되기 전까지 김정은정권에 적지 않은 통치자금을 벌어다 줬다.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은 동상이었다. 아프리카 독재자를 위해 동상을 만들어 주고 수십억~수백억원을 받았다. 

    대북제재 대상이 된 이후 만수대창작사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페이팔(Paypal)’ 결제를 활용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중국 현지에는 미술관을 만들어 직접 판매에 나섰다.

    2018년부터 논란이 된 중국 내 만수대창작사 작품 거래

    2018년 8월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중국 베이징의 유명한 예술거리인 789예술구에 있는 ‘조선만수대미술관’이 홈페이지를 통해 ‘만수대창작사’ 작품을 공개적으로 팔고 있다”면서 “미술관 공식 홈페이지에는 만수대창작사 유화(油畫)실장인 김훈의 작품 ‘풍경’, 인민예술가라는 ‘리창’의 ‘금강산의 봄’ ‘몽금포의 해 질 무렵’ ‘김포의 일몰’ ‘바다의 잔향’, 김흥광과 최영수의 그림, 북한 우표 등이 판매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1월에는 중국 선양 주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무역관이 “랴오닝성 단둥·선양 등에서 만수대창작사를 비롯해 북한 미술품 전시와 판매가 활발하다”면서 “주로 중국·북한 접경지역에 북한 미술품을 거래하는 화랑이 다수 존재하며, 온라인을 통한 판매도 활발하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전문가패널 또한 북한이 만수대창작사 작품 판매를 통해 핵·탄도미사일 개발자금을 조달한다며, 이들의 거래를 철저히 막아야 한다는 보고서를 지난해 9월 내놨다. 

    미국 재무부도 여기에 맞춰 지난해 11월 만수대창작사를 제재 대상 목록에 올렸다. 동시에 중국에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를 철저히 준수하라”고 촉구했다.

    중국 “제재 잘 지킨다… 이제 대북제재 완화해야”

    이 같은 지적이 나올 때마다 중국 외교부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를 잘 지킨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난해부터는 “북한을 대상으로 한 가혹한 제재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지난해 12월2일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유엔 안보리가 대북제재 결의에 ‘가역적(reversible)’ 조항을 적용해 북한 민생에 관한 규정을 일부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3일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를 확실히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 해결’이란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 해제 또는 일부 완화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