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4성 장군에 전권 주고 백신 개발에 100억 달러 투입… 총 10억 회분 확보K-방역 홍보에만 1000억 쓴 文정부… 백신 확보 시기 놓쳐 '거액' 지불한 듯
  • ▲ 지난해 12월 8일(현지시간) 서명한 행정명령을 들어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그의 뒤로 '초광속 작전' 표어가 보인다.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해 12월 8일(현지시간) 서명한 행정명령을 들어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그의 뒤로 '초광속 작전' 표어가 보인다.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 세계 우한코로나(코로나19) 백신 접종자가 1월3일 기준 1200만 명을 넘겼다. 미국 423만 명, 이스라엘 109만 명, 영국 94만 명, 중국 450만 명 등 주요 국가들은 이제 백신 접종을 두고 사실상 경쟁을 벌이는 중이다. 반면 한국은 이제야 백신을 구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나서서 지난해 12월 말 ‘모더나’ 백신 4000만 회분을 구매계약했지만 예산 문제가 남았다.

    우한코로나 백신 개발의 기적, 트럼프 대통령의 ‘초광속 작전’ 덕분

    전 세계가 이처럼 우한코로나 확산 1년도 안 돼 백신 접종이 가능하게 된 데는 미국,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워프 스피드 작전(Operation Warp Speed·초광속작전)’의 영향이 컸다. 조 바이든 대통령당선인조차 지난해 12월22일 부인과 함께 백신을 맞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공로를 인정한다”고 말할 정도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한코로나가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해 3월 “백신 개발을 최고속도로 단축하라”며 ‘워프 스피드 작전’을 명령했다. 

    그보다 앞선 지난해 3월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대형 제약사 10여 곳의 대표를 불러 모아 “지금 시점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때 제약사 대표들은 ‘백신 개발’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워프 스피드 작전’ 시행을 발표하면서 “연내 우한코로나 백신 개발을 마치고 양산까지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를 비웃었다. 이전까지 바이러스 백신 개발에는 보통 8~10년이 소요됐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모더나’가 mRNA-1273 물질을 이용한 백신 3상 임상시험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어느 누구도 트럼프 대통령을 비웃지 못했다. 이어 ‘화이자-바이오엔텍’과 ‘아스트라제네카’가 백신 개발 문턱을 넘었다. 존슨앤존슨(얀센)·노바벡스 등이 그 뒤를 따른다.

    ‘초광속 작전’ 성공의 비결 “전권 위임, 실패해도 면책”

    ‘초광속 작전’이 성공한 비결은 전문가에게 전권을 주고 전폭적인 지원을 하되 실패해도 책임을 묻지 않기로 한 점, ‘작전’이라는 명칭대로 군에 시행을 맡긴 덕분이라는 분석이 많다.

    ‘초광속 작전’의 사령관은 구스타프 퍼나 미 육군 대장이다. 수석전략가격인 최고과학자는 몬셰프 슬라위 박사다. 슬라위 박사는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수십 년간 백신 개발을 맡았던 전문가로 무슬림이자 민주당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슬라위 박사를 초빙하면서 “정치적 간섭은 절대 않겠다”고 약속했고, 이 약속을 지켰다.
  • ▲ 지난해 12월 28일 스테판 반슬 모더나 CEO와 화상통화를 하는 문재인 대통령. 당시 청와대는 '백신 확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으나 일부 언론이 '확보'라고 보도했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해 12월 28일 스테판 반슬 모더나 CEO와 화상통화를 하는 문재인 대통령. 당시 청와대는 '백신 확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으나 일부 언론이 '확보'라고 보도했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슬라위 박사와 퍼나 대장은 우한코로나 확산을 국가안보 위기로 간주하고 백신 개발을 시작할 때부터 자금을 투입했다. 투입 가능한 자금은 100억 달러(약 10조8200억원). 마치 신무기를 개발하겠다면 국방부가 돈부터 내주던 냉전 시절 군비경쟁을 방불케 했다. 

    이렇게 제약사에 선지원한 금액이 모더나 15억3000만 달러(약 1조6500억원), 아스트라제네카 12억 달러(약 1조3000억원), 노바벡스 16억 달러(약 1조7300억원), 사노피 21억 달러(약 2조2700억원), 존슨앤존슨 10억 달러(약 1조800억원) 등 80억 달러(약 8조6500억원)에 달했다. 업체가 백신 개발에 실패하면 돌려받을 수 없는 돈이었다.

    ‘초광속 작전’ 수뇌부가 이처럼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었지만 빠른 성과를 낸 곳은 모더나와 아스트라제네카뿐이었다. 그래도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의회도 문제 삼지 않았다. 우한코로나 대확산이라는 안보위기를 벗어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의회는 여기에 더해 백신 개발에 성공한 모더나에 2억 회분, 아스트라제네카에 3억 회분, 자금 지원을 받지 않고도 백신 개발에 성공한 화이자-바이오엔텍에 2억 회분, 존슨앤존슨(얀센)에 1억 회분의 백신을 선주문했다. 총 10억 회분 구입에 129억 달러(약 13조9600억원)를 썼다.

    확보한 백신을 미국 전역으로 수송하는 것은 퍼나 대장 몫이었다. 퍼나 대장은 군의 모든 수송수단은 물론 USPS·UPS·페덱스 등 물류업체까지 동원한 백신 수송계획을 세웠다.

    ‘K-방역’ 홍보에는 1000억 넘게 쓴 문재인 정부, 백신 확보에 얼마 썼나

    반면 한국은 우한코로나 확산 초기부터 ‘K-방역’ 집중 선전에 몰두했다. 지난해 12월23일 세계일보 보도에 따르면, 한국은 7월까지도 백신 확보에 별 관심을 갖지 않았다. 미국을 시작으로 영국·프랑스·이스라엘·중국·러시아 등이 백신 개발에 열을 올리자 7월에야 보건복지부 주도로 백신 도입 TF를 구성했다. 

    그러나 TF는 보건복지부·외교부·기획재정부·식약처·질병관리청 공무원들만 모였고, 의사결정권은 물론 예산 집행 권한도 없었다. 이후 9월이 돼서야 TF를 공식적으로 꾸렸고, 이마저 총원 14명 가운데 민간 전문가는 2명에 불과했다.

    같은 날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TF를 꾸린 뒤 회의는 계속 이어졌지만 예산도 없고 결정권도 없어 논의는 겉돌기만 했다. 보건복지부가 우여곡절 끝에 확보한 예산 1000억원도 쓸지 말지를 두고 토론만 이어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당시 문재인정부는 2차 재난지원금을 쓰느라 정신이 없었다. 이런 TF 활동을 몰랐는지 지난해 11월17일 박능후 당시 보건복지부장관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화이자와 모더나가 오히려 우리나라와 계약을 맺자고 재촉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유리한 가격으로 백신 물량 확보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말은 곧 ‘허언’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2월8일 보건복지부는 “최대 44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달 20일 정세균 국무총리는 “백신 구매협상에 나섰지만 물건이 없었다”며 “화이자·모더나·얀센 등과 계약은 임박했지만 2021년 1분기에 공급 약속을 받은 것은 없다”고 털어놨다. 

    이후 국민들의 비판이 거세지자 12월28일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모더나 최고경영자(CEO)와 화상통화를 해 2000만 명분(4000만 회분) 공급을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정부는 사흘 뒤인 12월31일 “모더나와 4000만 회분을 내년 2분기부터 공급받기로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는 모더나 측에 지불하기로 한 금액이 얼마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국회에서는 2021년도 우한코로나 백신 구매 예산으로 1조3000억원을 확보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참고로 모더나 백신의 1회분 가격은 평균 35달러(약 3만8000원)다. 4000만 회분이면 14억 달러(약 1조5150억원)가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12월 벨기에에서 실수로 노출된 가격인 18유로(약 2만4000원) 안팎으로 추정한다. 이 경우 필요한 금액은 7억2000만 유로(약 96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