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열단-조선의용대-광복군에 부모 공적 기록 없어… 부모 직책-조직도 존재 안 해"
  •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김원웅 광복회장 부모의 독립운동 행적에 의혹을 제기하며 "진위를 조사해달라"는 청와대 청원이 광복회 내부에서 올라와 논란이 일었다. 김 회장 측은 "이미 조사를 거친 사안"이라며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복회 회원과 독립운동가 유족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광복회개혁모임'은 지난 6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김원웅 광복회장 부(김근수)·모(전월선) 가짜 독립운동가 의혹 진상조사 청원"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청원에는 일주일 만인 13일 오후 4시 기준 9700여 명이 동의했다.

    개혁모임은 청원글에서 "광복군으로 서훈받으려면 광복군에 참여한 명확한 근거자료나 기록이 있어야 하고, 이것을 근거로 독립유공자 공적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되어야 한다"며 "그러나 김근수·전월순 부부의 독립운동 관련 공적을 분석해보니 의열단에도, 조선의용대에도, 광복군에도, 그 기록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수많은 광복군 관련 자료집에 김원웅 부모 기록 전무"

    광복회개혁모임은 이어 "독립기념관이 그동안 발간한 수많은 광복군 관련 자료집과 논문에도 김근수·전월순 관련 기록이 전무하다"며 "심지어 자신이 활동했다는 광복군 1지대 등 그 어떤 곳에도 두 사람 성명·사진 등 활동 기록이 없으며, 광복군 연구에 있어 국내 최고의 권위자로 꼽히는 역사학자 단국대 한시준 명예교수의 <한국광복군>이라는 유명한 연구책자에도 김근수·전월순에 대한 자료는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의 부친 김근수(1912~1992) 씨가 처음 독립유공자로 인정된 것은 1963년 대통령표창을 받으면서다. 이후 김씨는 1977년 건국포장,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을 각각 받았다. 부인 전월순(1923~2009) 씨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이들이 본격 독립유공자로 등재된 것은 '대한민국임시정부 및 광복군 생존자 확인서'(인우보증서)를 통해서다. 당시 인우보증을 섰던 관련자들은 현재 생존해 있지 않다.

    "부친 의열단에 입단? 명단에 없어"

    개혁모임은 (김 회장의 부친) 김씨가 자신의 공적서에서 '1931년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 경무국 비서관 직책을 거쳐 1935년 5월 난징에서 조선의열단에 입단했다'고 언급한 것을 두고 "당시 임정에는 경무국도 없었고 경무국 비서관이라는 직책도 아예 없었다"고 반박했다.

    이어 "김근수는 자신이 의열단원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1919년 출범한 의열단 명단에도 없고, 1935년 김원봉 단장은 조선의열단원 대다수를 참여시켜 조선혁명당을 출범시켰는데, 김근수는 조선혁명당 참여자 명단에 없다"고 꼬집었다.

    개혁모임은 또 충칭(重慶) 임시정부가 1945년 12월8일 작성한 '한국 임시정부 직원 권속 교포 명책'(임시정부 직원 및 가족, 현지교민 명단)을 두고 "김 회장의 부모가 광복군이 아니라는 증거"라며 "(해당 교포 명책은) 독립운동가 명단자료가 아닌 교민의 명단"이라고 지적했다. 이 책에는 왕석(김근수의 이명)·김희(전월선의 이명)·왕원웅(김원웅의 이명) 등 김 회장 일가의 이름이 들어 있다. 

    개혁모임은 또 "김 회장 일가의 1944년, 1945년 충칭 거주는 확인되지만, 김희(전월선의 이명)는 본명, 고향 및 나이가 틀리고 왕석(김근수의 이명)은 고향이 틀려 의혹투성이"라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이 같은 의혹과 관련해 전날 광복회를 통해 "정부가 이미 오래 전에 조사해 포상했던 사안으로, 근본적으로 정부가 답할 문제"라면서 "특별한 입장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김 회장은 지난 8월15일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 축사에서 친일 인사들이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것을 비판하며 '파묘'를 주장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을 향해서는 "반민특위를 폭력적으로 해체하고 친일파와 결탁했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