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3일 靑에 메시지" "15일 北 주민 대피령" "靑과 정보 공유"… 靑, 18일에야 유감 표명
  • ▲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18일
    ▲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18일 "북측이 김여정의 담화 이후 연락사무소 폭파 사실을 알려온 적이 없다"고 밝혔다. 한국일보 보도에 대한 반박이었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청와대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18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기 전에 북한으로부터 김여정 담화와 관련한 메시지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연이어 나오는 소식들은 “청와대가 며칠 전부터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북한의 이상동향을 이미 눈치채고 있었다”는 설에 힘을 보태주는 내용들이다. 

    윤 수석의 발표는 이날 나온 한국일보 보도에 따른 반박이었다. 한국일보는 이날 "김여정이 담화를 발표한 13일 밤 북측이 우리 측에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해왔고, 이는 청와대에도 전달됐다"고 정부 고위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군 당국 역시 “북한의 특이동향은 아직 없다”는 말을 며칠째 내놓았다. 

    군 고위관계자 “15일 오전 개성서 대규모 차량 움직임 포착”

    이 같은 청와대와 정부의 발표와 달리 "우리 군이 북한의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틀 전부터 이상징후를 파악하고 청와대에 관련 내용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관측이 힘을 얻는다. 조선일보는 19일 '군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19일,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15일 오전 북한 개성지역에서 대규모 차량 움직임이 있었고, 당일 오후 6시에는 주민·직원 대피령 방송까지 확인돼 곧바로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말했다. 그는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당일 오전에도 현장 인근에서 폭발물 설치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과 인력의 움직임을 식별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북한 측이 김여정의 담화 발표 이후인 13일 밤 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한 메시지를 우리 측에 전달했다”는 한국일보의 18일 보도와 통한다. 같은 맥락의 주장은 더 있다.
  • ▲ 북한 선전매체가 공개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장면.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북한 선전매체가 공개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장면.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회 국방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은 지난 17일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김여정의 발언 다음날부터 국방부가 공동연락사무소의 특이동향을 살폈고, 14일 건물에서 (용접) 불꽃이 튀는 것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민 의원은 이 불꽃이 공동연락사무소 폭파를 위한 준비행위라고 풀이했다. 그는 “우리 군에서는 이미 폭파 이틀 전부터 (징후를) 봤다”며 “이런 징후를 발견하면 청와대와 당연히 공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대북전단은 하나의 명분일 뿐, 지금 북한의 행동이 오래 전부터 기획됐다는 느낌이 든다”고 덧붙였다. 

    국방위원장 “폭파 이틀 전 징후 포착…당연히 청와대와 공유”

    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도 17일 중요한 발언을 했다. 그는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에 대한 북한의 움직임은 지난해 10월부터 계속 이야기가 나왔다”며 “지난해 2월 하노이 미북정상회담 결렬 이후 그런 이야기가 계속 나왔는데, 혹시 (국정원이 청와대에) 희망 섞인 보고를 한 게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이런 것은 곧 기망(欺罔, 사실을 은폐해 상대방을 속여 넘기는 행동)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북한이 개성공단 시설물까지 파괴하는 것을 개의치 않는 것을 보면 상당히 걱정된다”며 “김여정이 말하는 것은 지켜질 것이다. 일부 희망 섞인 판단도 있지만 그렇게 안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가장 염려되는 것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인데 “이것마저 쏘아 올리면 파국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김 의원은 걱정했다.

    문재인 대통령, 측근에 속았나 보좌진들 무시했나


    이 같은 상황에서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6·15선언 20주년 기념사에서 “북한은 대화의 창을 닫지 말라”면서 “평화와 공존을 위한 노력을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고 한 대북 유화 메시지는 상식적이지 않다.
  • ▲ 6.15선언 20주년 기념사를 낭독하는 문재인 대통령.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15선언 20주년 기념사를 낭독하는 문재인 대통령.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 대통령의 이런 대북 유화 메시지를 두고 청와대 참모진의 상황판단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고 조선일보는 전했다. 

    신문은 “청와대는 국방부와 국정원 등 다양한 경로로 대북정보를 입수한다. 북한 내부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는 객관적 정보를 심각하게 보지 않아서가 아니라 끝까지 대화로 상황을 풀기 위해 대통령이 대화 메시지를 낸 것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방부는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에도 “북한의 특이동향은 없으며 경계태세는 확고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국정원은 아직도 침묵한다. 청와대는 “군이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 이틀 전부터 징후를 파악하고 있었다”는 보도에는 반박하지 않았다.

    이는 국방부와 국정원 등 북한의 동향을 면밀히 감시해야 할 부처들이 청와대를 기망(欺罔)했을 가능성보다 청와대 최고위층이 관련 부처의 보고를 의도적으로 외면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풀이가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