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 신문 “중국서 일하는 北노동자 10만명 이상”
  • ▲ 과거 중국 국경지대에서 포착된 북한 노동자들의 출근 모습.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과거 중국 국경지대에서 포착된 북한 노동자들의 출근 모습.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22일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제재 결의 2397호 제8항으로 “유엔 회원국은 자국 내에서 근무 중인 북한 노동자를 모두 귀국시키라”고 규정한 최종 시한이었다. 이 결의에 따르면, 모든 유엔 회원국은 북한 노동자를 귀국시켰어야 한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여전히 수만 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日산케이 “중국에 北노동자 10만” RFA “수만 명 근무”

    일본 산케이 신문은 지난 21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 2397호 시한이 임박했다”면서, “제재 결의안을 냈던 2017년 12월 당시 중국과 러시아에 북한 노동자가 10만 명 있다고 추정됐는데, 최근 중국 국경지대를 걷다 보면 북한 노동자들은 지금도 송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또 “지난 18일 오전 6시 30분 중국과 북한 국경이 있는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한 도시에서 30분 동안 1000여 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출근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영하 12도의 추운 날씨 속에서 같은 색의 코트를 입은 여성이 30~50명씩 무리지어 공장 등으로 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이어 "해외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은 김정은 정권이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외화를 벌어들이는 수단"이라며, "이들은 관용 여권 등을 사용해 중국에 머물며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 내 북한 노동자의 숫자 또한 국제기구에서 추정하는 것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유아시아방송(RFA)도 비슷한 소식을 전했다. 방송은 지난 19일 중국 단둥의 무역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16일 150여 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단둥 외곽 뚱강(東港)에 도착, 현재 건축 내장재 공장에서 일하는 중”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새로 온 북한 노동자는 20대에서 30대 초반까지 여성들로, 이들이 일하는 곳은 300명이 넘는 중국인들이 일하는 규모가 큰 공장”이라고 설명했다.

    단둥 소식통은 방송에서 “요즘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식당 말고 개인식당도 20대 북한 여성들을 고용하는 곳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그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북한식당들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영업에 활기를 띄고 있다”면서 “북한 식당에서 일하는 노동자들도 당연히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에 따라 철수 대상자일 텐데 최근 그 숫자가 대폭 늘어났다. 이는 중국이 제재를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과거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영업하던 북한식당 '옥류관'의 모습.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과거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영업하던 북한식당 '옥류관'의 모습.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케이 신문과 자유아시아방송 외에 NHK, 요미우리 등 일본 주요 언론들도 중국 당국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고, 북한 노동자들의 자국 내 취업을 묵인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중동·유럽 “北노동자 모두 귀국”…아프리카, 제재 이행 미온적

    반면 북한 노동자들을 모두 귀국시킨 나라들도 있었다. 주로 중동과 유럽 국가들이었다. 폴란드, 몰타 정부 관계자는 “현재 국내에 남아 있는 북한 노동자는 한 명도 없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다. 폴란드에서는 올해 초만 해도 북한 노동자 수백 명이 일하고 있었다.

    한때 3500명의 노동자가 일했던 쿠웨이트도 북한 노동자를 거의 다 돌려보냈다. 방송은 “쿠웨이트가 북한 노동자에게는 비자를 더 이상 발급하지 않는다. 쿠웨이트에서는 북한 노동자는 물론 그들을 관리하던 행정원도 볼 수 없다”는 현지 소식통의 말도 전했다.

    방송은 “하지만 아프리카는 사정이 다르다”고 보도했다. 아프리카에는 북한과 우호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들이 많은데, 이들은 이런 저런 핑계를 대며 대북제재 이행에 소극적이라고 방송은 설명했다. 방송은 “유엔 안보리가 공개한 최근까지의 이행 보고서 제출 현황만 봐도 아프리카에서 대북제재 결의 이행보고서를 제출한 나라는 적도 기니 한 곳 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