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장관 후보자 "김정은 합리적, 문재인 쇼"… 전방위 막말에 靑도 부담
  • 김연철 통일부장관 후보자의 과거 행적이 연일 논란거리다. ‘대북제재 무용론’을 줄기차게 펼친 것은 물론, SNS를 통해선 ‘김정은 칭송(?)’까지 했다. 반대로 문재인 대통령(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향해서는 ‘원색적 비난’ 내용을 게재, 통일부장관으로서 자질이 우려된다는 소리가 여야에서 동시에 터져 나왔다. 야권에서는 당장 김 후보자 임명철회 요구가 빗발친다.

    "매우 부적절한 인사" 한국당, 엄중 경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오는 26일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한다. 한국당은 과거 김 후보자의 SNS 발언을 토대로 편향적 대북‧안보관을 집중추궁할 예정이다.

    나 원내대표는 13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청와대가 김 후보자에 대한 지명철회를 하지 않을 경우 인사청문회를 통해 온 힘을 다해 부적절한 인사임을 증명할 것”이라며 “지금 대북정책 관련해서 한미동맹이 흔들리고 있는데 사드 반대, 대북제재를 반대했던 후보자는 매우 부적절한 인사”라고 경고했다.

    민경욱 한국당 대변인도 “이런 김 후보자를 내정한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도 문제”라며 “김 후보자의 통일관과 과거 막말이 논란이 될 것을 몰랐다면 인사검증 시스템이 붕괴된 것이고, 뻔히 알면서도 임명을 강행하려 한다면 대한민국 국민을 무시하는 오만의 극치”라고 주장했다.

    여권에서도 "자신의 정치성향을 공개적으로 지나치게 노출한 것은 흠결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어서 김 후보자의 무혈입성은 불투명하다.

    김양건 추모... “김정은이 합리적 판단을 하는 데 역할”

    김 후보자의 발언 중 가장 큰 문제로 거론되는 것은 ‘천안함 폭침’ 사건 관련 내용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합리적 지도자’로 평가한 부분이다. 

    김 후보자는 2015년 12월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의문의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추모글을 올려 ‘젊은 지도자(김정은)가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데 그의 역할이 컸을 것’이라고 썼다. 김 위원장을 ‘합리적 지도자’로 평한 셈이다. 

    이어 벌어진 목함지뢰 도발에 대해서도 “(북측 소행이라는) 심증은 가는데 (우리 정부 당국이) 확실한 물증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라고 주장했다.

    "강박증, 자폐증" 이명박·박근혜엔 막말

    반면 국내 정치권을 향해서는 ‘원색적’ 비난을 일삼았다는 비판이다. 김 후보자는 2016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아무리 감추려 해도 정신병에 가까운 강박증, 평균 이하인 지적 수준, 대화 자체가 불가능한 자폐증 등을 눈치챈 사람들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2월엔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일종의 역사적 정통성이 결여된 보수세력”이라고 주장 했다.

    보수진영을 향해서만 날을 세운 것이 아니다. 2015년 3월 문재인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천안함 폭침 5주기를 맞아 군복을 입고 강화도 해병대대를 방문하자 그는 “군복 입고 쇼나 하고 있다”며 “국민이 군대를 걱정하는 이 참담한 상황이 되지 않았는가. 정치 하는 분들이 좀 진지해졌으면 좋겠다”고 비난했다. 

    문 대통령이 당시 해병대에서 “천안함 폭침은 북한 소행”이라고 언급하자 이에 대한 불쾌감을 토로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2015년 하반기에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이던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대표가 문 대통령과 당내 갈등을 일으키자 “새것이라 아무거나 주워 먹으면 피똥 싼다는 교훈을 얻었으면 한다”고 막말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국정교과서 찬성한 교수 향해 “×놈”

    장관 후보자 수준에 걸맞지 않은 막말과 욕설도 다수 목격됐다. 김 후보자는 2015년 10월 국정교과서 집필에 찬성한 한 교수를 향해 “씨×럴 개놈”이라고 욕설을 했다. 그해 3월엔 진보와 보수 양측이 모두 참여하는 토론회 사회를 맡아달라는 제안을 거절했다는 일화를 페이스북에 소개하며 "진보와 보수의 대화 어쩌고저쩌고 하는 대부분의 이벤트는 알고 보면 사기"라고 썼다.

    특히 최근에는 2차 미북정상회담 직전 ‘유엔사 해체’를 추진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졌다.

    통일연구원장 시절, ‘유엔사 해체’ 논의도 

    김 후보자는 2차 미북정상회담 직전인 지난달 11~12일 중국 상하이로 출장가 중국 전문가들과 유엔군사령부 해체 방안이 담긴 '평화협정 시안'을 논의했다고 <조선일보>가 12일 보도했다. 

    김 후보자가 원장으로 있던 통일연구원이 작성해 공개한 이 시안에는 ‘북한의 비핵화 약 50% 달성 시점으로 예상되는 2020년 초반 남·북·미·중 4자가 서명하는 방식으로 평화협정을 맺고, 90일 이내에 유엔사를 해체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조선일보>는 전했다. 

    북한의 비핵화는 진척이 없는 상황에서 북한이 사활을 건 ‘유엔사 해체’를 추진한 것이 사실일 경우 청문회에서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자신의 과거 행적을 두고 자질 논란이 확산되자 김 후보자는 12일 SNS를 폐쇄했다. 그러면서 이날 통일부를 통해 “페이스북에 알지 못하는 사람들의 접근 및 해킹 우려가 있어 계정을 일시 비활성화로 돌렸다”고 해명했다. 

    이어 “대북정책이나 남북관계에 관한 정치비평에서 일부 정제되지 않은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했다. 매우 유감으로 생각하며 사과드린다. 앞으로 언행에 있어 보다 신중을 기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