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시내도 하루 3~7시간 '찔끔 전기'... 요금은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매겨
  • ▲ 지난 4월 한국예술단과 함께 평양을 찾은 기자들이 찍은 평양역 일대의 야경. 왼쪽의 불꺼진 건물이 실제 모습이다. ⓒ뉴시스-평양공연 사진공동취재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 4월 한국예술단과 함께 평양을 찾은 기자들이 찍은 평양역 일대의 야경. 왼쪽의 불꺼진 건물이 실제 모습이다. ⓒ뉴시스-평양공연 사진공동취재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日아시아프레스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영향이 이제 평양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면서 “식량 배급과 전기 공급이 끊기자 무역일꾼과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日아시아프레스는 지난 14일 평양 소식통들을 인용해 관련 이야기를 전했다. 남북정상회담 직전에 중국에 온 평양 출신 무역일꾼은 “평양 시내의 내가 사는 구역은 2017년 가을까지 하루 8시간 정도 전기가 공급됐는데 2018년 들어서는 3~4시간 정도밖에 안 들어온다”고 밝혔다고 한다.

    이 무역일꾼은 “친척집이 있는 평양의 군수공장 구역은 과거 김정은이 여러 번 시찰한 곳이어서 몇 년 째 24시간 전기가 공급됐는데 올해 4월 달에 친척집에 가보니 하루 7시간 정도밖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이 무역일꾼에 따르면 북한은 2017년 전기 요금을 대폭 인상하고 각 가정마다 전기계량기를 구입해 사용량만큼 요금을 내도록 했다고 한다. 문제는 전기 계량기 가격. 북한 주민들의 소득으로는 대당 20~30달러 하는 전기계량기를 사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때문에 공무원들이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전기기구 종류와 수를 확인해 요금을 매기고 있다고 한다.

    日아시아프레스는 “이 무역일꾼의 집에서는 매달 3,000원(한화 390원)을 낸다”면서 “일본이나 한국에서 보면 무척 싸지만, 북한 주민들은 ‘전기요금을 내다니 사회주의도 끝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김일성 때부터 김정일 때까지는 ‘사회주의 정신’에 따라 전기요금을 사실상 무상으로 제공해 왔다. 그러나 2017년 11월 김정은은 “비정상을 정상화하겠다”며 전기요금을 최소 300배, 최대 3,000배 인상해버렸다. 이로 인해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상당해진 것으로 전해진 바 있다.

    日아시아프레스는 “한편 북부 지역인 양강도 혜산시의 경우 2017년 가을부터 매월 1만 원의 전기요금을 징수하지만 전기 공급이 아예 안되는 곳이 많아 주민들이 지불을 거부하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