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 위해 고액 상담 받거나 스펙 쌓기 열 올려“합격 불확실”...수능-논술-내신 등 사교육 병행
  • 입학사정관제를 통한 대학 입학생이 크게 늘면서 그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공교육 정상화와 대입전형 자율-특성화를 위해 지난 2007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수능 성적뿐 아니라 생활기록부를 비롯해 학생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제도 도입 이후 입학생 수가 꾸준히 늘어 올해의 경우 3만 6896명의 학생이 118개 대학에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했다. 2012학년도에는 4만 1250명의 학생이 122개 대학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 추세에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목표 중 하나는 성적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나 사교육에서 자유로운 학생을 선발하는 것. 실제로 올해 입학사정관제 시행 대학들은 성적보다는 창의성을 중심으로 평가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일부 대학은 내신과 수능 성적을 전혀 보지 않고 면접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고 공지했다.
    그러나 서울 C대학의 한 사정관은 언론에 “선발 인원이 적고, 입시 정보가 부족해 입학사정관제 합격을 위해 도리어 고액의 상담을 받거나 스펙 쌓기에 열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또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서울 S대학에 합격한 박 모군은 “입학사정관제에 합격한다는 보장이 없어 수능, 논술, 내신 모두 사교육을 병행하여 공부했다”고 말했다.
    입학사정관제는 도입 초기부터 서류 위조, 대필 의혹,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투명성 논란이 되어왔다. 서류나 면접의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거짓 정보를 기재하거나 자칫 주관적 평가가 개입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당국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정하고 ‘표절방지 시스템’과 수험생과 특수관계에 있는 입학사정관과 교직원을 배제하는 ‘회피·제척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9~11일 열린 ‘2011년 대학 입학사정관제 사례 발표 워크숍’에서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입학사정관 정규직을 50%로 늘려 학생 선발 과정의 공정화와 객관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대학들은 이에 대해 “여전히 문제는 발생할 것”이고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사례발표 워크숍에서 이 장관은 입시제도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입학사정관제 역시 올해 상반기 5개년 사업을 수립해 추가 재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방의 B사립대 정모 사정관은 “정권 교체에 따라 교육제도가 뒤집히는 사태를 지켜봤다”며 지속성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

    이 밖에도 입학사정관제는 크고 작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올해 1월 K대학에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실업계 학생이 자살해 입학생 추후 관리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또 지난 10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대상 60개 대학 중 ‘입학사정관제 공통기준’을 어긴 5개 대학이 지침을 위반해 이들 대학으로부터 국고지원금을 일부 회수하겠다고 밝힌 바도 있어 ‘무늬만 입학사정관제’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안재범 대학생 인턴기자<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