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4847곳 조사.. 음용지하수 오염은 더 심해
  • 전국 지하수의 6%가량이 수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상·하반기에 걸쳐 전국 4847개 지하수를 대상으로 20개항목의 수질 측정을 한 결과 6.1%에 해당하는 296개 지점이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9년과 초과율이 동일하지만 2008년 6.9%보다는 0.8%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측정망 유형별로는 지방환경청이 관리하는 오염우려지역(공단, 도시주거, 분뇨처리장 인근, 농업용수 사용 지역)이 154곳으로 가장 많았다. 시·도 관리 하의 일반지역(도시·농업·자연환경보전 지역)은 86곳, 국토해양부가 관리하는 국가관측망은 56곳이었다.

  •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공단지역 및 도시주거지역에서 유독성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초과가 많아 타 지역에 비해 유기용제의 오염이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용지하수로 분류된 곳의 기준초과율이 6.9%로 비음용수질 5.8%보다 나빴고, 용도별로는 공업용수가 수질기준초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지역의 경우 대부분이 일반세균, 질산성질소, 대장균군 등 일반오염물질이 초과됐다. 또 시·도별 초과율은 울산이 20.4%로 가장 높았고 충남 8.1%, 경기 7.8%, 경북 4.7% 순이었다.

    '오염우려지역' 측정결과를 지방환경청별로 보면, 한강청 관할의 지하수오염도는 24%로 가장 높았고, 영산강청관할이 13.1%, 대구청이 12.6% 순이었다.

    환경부는 관정시설의 위생관리 부실에 따라 오염된 낮은 곳의 지하수가 심층으로 유입돼 일반세균 질산성질소의 오염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했다.

    환경부관계자는 “주요 초과 오염물질인 미생물과 TCE, PCE는 주로 오수, 축산폐수 및 섬유·금속 세정제 등이 주오염원으로 관정의 위생관리 부실이나 지표의 오염물질 및 오염된 천층 지하수가 유입된 것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또 반복적인 초과지점에 대해서는 정밀조사, 관정 시설 개선 및 위생관리 등을 통해 수질 개선에 힘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환경부는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를 통한 모니터링의 과학화, 지역단위 지하수 수질관리체계 구축, 지하수 오염예방 및 정화·복원기술 개발 등 지하수 수질관리 선진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