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이탈표 17표에 촉각 … 가결 주장만 3명추경호 "힘 모아달라" … 윤재옥도 직접 전화
  • ▲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오는 28일 열리는 제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채 상병 특검법' 재표결이 이뤄질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부결을 이끌어내야 하는 국민의힘에서는 전운이 감돈다.

    당 내에서는 "이 정도는 받아도 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다수의 이탈표가 발생할 가능성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지도부는 표 단속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與 지도부, 연일 부결 호소하며 표 단속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이 당력을 총 결집해 만든 독립적인 수사기구인 공수처를 못 믿고 특검하자는 것은 자기모순이자 법치 무시 행태"라며 부당성을 부각했다.

    성일종 사무총장도 야권의 '정치공세'로 규정하고 "우리 당은 상식에 따라 당론으로 표결에 임할 것"이라며 부결을 강조했다.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도 "채 상병 사건을 공수처에 고발한 당사자는 민주당이고, 패스트트랙을 2번이나 하며 억지로 공수처를 만든 것은 민주당"이라며 "이제 와서 못 믿겠다며 특검법을 밀어붙이는 행태는 블랙코미디"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한 목소리로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한 부당성을 내세우며 부결을 호소하는 이유는 재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지겠다는 인원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재의결 마지노선 '17표'가 정국 운명 가른다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따라 국회에 되돌아온 '채 상병 특검법'은 재적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 의원 3분의 2가 찬성할 경우 재의결이 가능하다.

    현역 의원 295명(의원직 박탈 4명·구속 1명) 전원이 표결에 참여할 경우 197명이 찬성하면 되는데, 범야권 의원 수가 180명임을 고려하면 재의결 마지노선은 '17표'다. 국민의힘이 막아야 하는 이탈표가 17표라는 의미다.

    이미 김웅·안철수·유의동 의원이 공개적으로 찬성 입장을 밝힌 데다 제22대 총선에서 낙선·낙천·불출마한 의원이 58명에 달하기에 국민의힘은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이들이 가결표를 던지거나 본회의에 불참할 경우 정족수가 줄어들어 재의결 가능성이 커진다. 만약 20명의 의원이 본회의에 불참해 275명만 투표에 참여한다면 3분의 2인 184명의 찬성표로도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게 된다. 

    무기명 투표도 또 하나의 변수다. 재표결 시에는 기명 투표가 아닌 '비공개 투표'로 진행되기 때문에 소신 투표를 하는 의원이 더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국민의힘 한 의원은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아직 결정을 못했다. 의원총회까지 가서 이야기를 들어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의원도 "국민의힘이 앞으로 3년만 존재할 정당은 아니지 않나. 계속해서 정권을 창출해야 하는 정당인 만큼 심도 있는 고민 후 이에 맞는 결정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현직 원내지도부 모두 '부결표' 공략 사활

    국민의힘은 채 상병 특검법 재의결 가능성이 낮다고 보면서도 본회의 출석표와 이탈표 규모가 향후 당 운영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기민하게 대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추 원내대표는 전날 자당 21대 의원 전원에게 부결을 읍소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는 "대통령께서도 공수처 수사를 보고 국민의 의혹이 풀리지 않으면 '제가 먼저 특검을 하자고 주장하겠다'고 했다"며 "국민의힘이 집권 여당으로서 국정 운영에 무한한 책임을 갖고 임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전임 원내지도부도 팔을 걷어붙였다. 윤재옥 전 원내대표는 이양수 전 원내수석부대표와 정희용 원내대표 비서실장과 운영위원장 집무실에 모여 당 소속 의원들에게 전화를 돌리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본회의 직전까지 당 소속 의원들의 표심을 잡는 데 사활을 걸 전망이다. 장동혁 원내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 의원님들 최대한 협조를 구하는 게 최선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