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초선부터 중진까지 洪 정조준 "겁박 정치" "졸렬"홍준표, 탈당 독려 이어지자 "가당치 않다" 急선회
  • ▲ 홍준표 대구시장. ⓒ이종현 기자
    ▲ 홍준표 대구시장. ⓒ이종현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이 과도하게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비판하며 탈당까지 시사하자 여권 내에서는 부적절하다는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홍 시장은 "탈당은 가당치 않다"며 다급하게 탈당론에 선을 그었지만 국민의힘에서는 홍 시장의 수위 높은 발언이 당 내분을 야기할 수 있다고 판단해 탈당 요구가 빗발치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홍 시장은 지난 20일 자신의 거취까지 거론하며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등판에 제동을 걸었다. 자신의 소통채널인 '청년의꿈'에서 "또 다시 초짜 당대표 되면 나도 거취를 결정할지도 모른다"고 엄포를 놓은 것이다.

    그간 국민의힘 내에서는 홍 시장이 한 전 위원장을 향한 비판 수위를 끌어 올려도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 홍 시장이 "깜냥도 안 되는 애" "어린 애" 등 표현을 사용하며 비난하더라도 "적절치 않다"는 취지의 원론적인 반응만 내놓을 뿐이었다.

    그러나 홍 시장이 탈당까지 언급하는 지경이 이르자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상민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채널A 라디오 '정치 시그널'에서 홍 시장이 한 전 위원장을 비판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누구보고 나와라, 나오지 말라는 건 과도한 것으로 그렇게 말할 권한은 아무에게도 없다"고 일갈했다.

    이 의원과 함께 출연한 김병민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이 당에 남아 있지 않을 것처럼 겁박하는 정치를 하게 되면 이 당의 본류를 지켰던 분이라고 얘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 당의 본류를 지켰던 분이라면 이 당을 한 번도 떠나지 말았어야지 지난번 공천을 못 받고 당을 떠나지 않았냐"며 과거 홍 시장이 무소속으로 대구에 출마해 당선된 이력을 직격했다.

    그러면서 "본인 스스로 본류를 자처하면서 다른 사람을 뜨내기 취급한다면 본인 스스로의 행보에 대해서도 조심해야 한다"며 "이 당에서 국민께 선택받고 활동하는 정치인이라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내가 이 당을 떠나겠다고 하는 건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는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김웅 국민의힘 의원도 홍 시장의 탈당 당시 기사를 언급하며 "누가 들으면 30년간 당을 지킨 줄 알겠다"며 "세월이 흘렀고 세상도 변했으니까요"라고 꼬집었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한 전 위원장이 대표가 되는 게 싫으면 자기가 나와서 같이 경쟁해서 이기면 될 것 아니냐"며 "그렇게는 안 하고 계속 후배한테 고춧가루나 뿌리는 건 당의 원내대표, 당 대표, 대선 후보까지 지낸 원로가 말하기엔 졸렬한 일"이라고 맹폭했다.

    친윤(친윤석열)계도 불편한 기색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박수영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홍 시장님, 더 빨리 나가셔도 좋다. 아무도 안 따라 나갈 것"이라며 탈당을 독려했다.

    '찐윤'(진짜 친윤석열) 이철규 의원도 TV조선 유튜브에서 "당의 입장이 분란이 오고 그런 말씀은 이제 조금 줄여주셨으면 좋겠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당원 게시판에는 홍 시장의 탈당을 요구하는 게시글이 줄을 잇고 있다. 당원들은 "홍준표 시장 빨리 탈당하시라" "출당하시길 간절히 바란다" "붙잡을 사람 없다" "제2의 이준석"이라며 홍 시장의 탈당을 촉구했다.

    여권의 심상치 않은 기류에 홍 시장은 몸을 낮췄다. 그는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내가 30여년 간 이 당을 지키고 살려온 뿌리인데 탈당 운운은 가당치 않다"며 "내가 탈당하는 때는 정계에서 은퇴할 때"라고 했다.

    그러나 한 전 위원장을 향한 비판은 멈추지 않았다. 홍 시장은 "윤석열 후보에게 당이 한 번 점령당했으면 됐지, 문재인 믿고 우리를 그렇게 못살게 괴롭힌 어린애에게 또다시 점령당하라는 말인가"라며 "그런 배알 없는 당이라면 해체하고 다시 시작하는 게 한국 정통 보수정당을 살리는 길이라는 걸 지적한 것"이라고 했다.

    자신을 비판한 친윤계를 향해선 "소위 언론에서 말하는 '찐윤'이라는 사람들은 찐드기처럼 윤(윤석열 대통령)에 기생하는 진드기라는 뜻으로 언론에서 붙인 말인데, 정작 본인들만 그 뜻을 모르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