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中, 하와이·괌 타격 가능한 '둥펑-27' 5년째 운용 중"

SCMP "항공모함 킬러, 괌 킬러 결합 '둥펑-27'은 비장의 무기"美 유출 정보문서 "미국 미사일 방어체계 뚫을 가능성 높다"군 소식통 "사거리 길고 초음속으로 비행해 궤도 안정화 필요"

입력 2023-05-22 14:36 수정 2023-05-22 15:20

▲ 중국이 2019년 열병식에서 선보인 DF-17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뉴시스

미군의 모든 아시아태평양 기지를 타격할 수 있는 중국군의 최첨단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 '둥펑(東風·DF)-27'이 2019년부터 4년 넘게 운용돼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중국군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둥펑-27이 공식적으로 공개된 적은 없다. 그러나 지난해 8월 중국 소셜미디어에는 둥펑-27을 비롯한 여러 미사일의 모습이 담긴 영상이 퍼졌다. 낸시 펠로시 당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반발한 중국이 봉쇄 군사훈련을 하기 불과 며칠 전이었다.

해당 동영상의 출처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엄격한 검열이 이뤄지는 중국 소셜미디어에 이러한 동영상이 퍼진 것을 두고 미국을 향한 경고라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중국군 소식통은 "둥펑-27은 2019년 이전에 로켓군에 배치됐지만, 중국 인민해방군(PLA)이 이러한 '비장의 무기'를 너무 일찍 공개하고 싶지 않아 했다"며 인민해방군은 둥펑-27의 전신인 둥펑-17을 2019년 중국 건국절 열병식에 공개한 이후에도 둥펑-27을 의도적으로 비밀에 부쳤다고 SCMP에 밝혔다.

이 소식통은 "둥펑-27은 둥펑-26처럼 괌을 타격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 중 하나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탄두, 단일 극초음속활공체(HGV), 다탄두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둥펑-27은 사거리 1500km에 음속의 5배로 비행하는 둥펑-17, 사거리 1800km에 다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항공모함 킬러 둥펑-21D과 공통점을 가진다"고 덧붙였다.

미 국방부가 둥펑-27을 최초로 언급한 것은 2021년 연례 보고서에서였다. 이 보고서는 둥펑-27의 사거리를 중국 본토에서 하와이를 타격하기에 충분한 5000~8000km로 추정했다. 

둥펑-27은 올 초 유출된 미국 정보문서에도 등장했다. 이 문서는 "인민해방군이 지난 2월25일 수행한 둥펑-27 시험이 성공적이었고, 둥펑-27이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를 뚫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high probability)"고 결론 내렸다.

이 소식통은 유출문서의 정보를 확인하며 "둥펑-27이 수년간 사용됐지만, 인민해방군은 둥펑-27의 복잡한 운영체계 때문에 지속적으로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 "둥펑-27은 둥펑-17과 둥펑-26보다 사거리가 길고 초음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궤적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험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험은 정밀 타격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둥펑-27은 둥펑-17의 개량형이다. 둥펑-26은 둥펑-21D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인민해방군 교관 출신인 군사전문가 쑹중핑은 SCMP에 "둥펑-26은 사정거리가 약 3500km에 달해 '괌 킬러'라고도 불리며, 둥펑-27은 인민해방군의 반접근지역거부(A2AD) 능력을 향상시키는 억지전략의 일부이지만 사거리 내에 있는 미국 하와이나 알래스카가 아닌 일본과 괌의 중요한 기지를 겨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민해방군은 최첨단 탄도미사일을 해안지역에 배치하기를 원치 않기 때문에 사거리가 더 긴 미사일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인민해방군의 둥펑-27 개발계획을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으며, 이에 대응해 괌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배치했다.

대만 해군사관학교 교관 출신인 군사전문가 루리시는 "미국은 이미 괌에 패트리어트 방공체계을 배치했지만, 이 시스템은 제한된 고도 요격 능력으로 인해 HGV와 함께 날아오는 미사일을 탐지하고 요격하는 데는 무능력하다"며 "그러나 사드는 동펑-26이나 동펑-27과 같은 목표물이 대기권 안팎에서 활공할 때도 요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방부가 지난 3월 공개한 2024 회계연도 국방예산안에 따르면 미군은 태평양 전진기지인 괌 방공망 강화에 15억 달러(약 2조원)를 책정했다. 괌은 사드 시스템 외에도 미 해군의 이지스 시스템으로 보호받고 있다. 

한편, 미 육군은 사드뿐 아니라 중국과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저고도 공중 및 미사일 방어 센서, 간접사격방호능력, 업그레이드된 패트리어트 시스템을 제공할 계획이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전·충청·세종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특종

미디어비평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