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회담 확정, 양자회담도 진행… 국민 이익 걸려있어 순방 결정""국민 과학수사 원해"…'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민주당 요구 사실상 거부
  •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1일부터 4박6일 일정으로 동남아시아 순방길에 오르는 것과 관련해 '세일즈 외교'에 방점을 찍은 소회를 밝혔다. "대통령으로서 우리 기업의 경제활동을 든든하게 뒷받침해주기 위해 회의 참석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10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취재진과 만나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그 유가족, 아직도 충격과 슬픔에서 힘들어하는 국민을 두고 이런 순방 외교 순방 행사에 참석을 해야 하는지 고민을 많이 했다"면서도 "국민들의 경제통상 활동과 이익이 걸려 있는 중요한 행사라 힘들지만 순방을 가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동남아시국가연합(ASEAN·아세안)+3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오는 11일 4박6일 일정으로 캄보디아 프놈펜과 인도네시아 발리를 차례로 방문한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연합체이고, 경제강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아세안의 중심성이라고 하는 것을 받아들이면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지역"이라며 "전 세계 물동량의 50%가 아세안 지역에서 움직이고 수만개의 우리 기업들이 이 지역에 투자를 하고 경제 전쟁과 경쟁을 치루고 있는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많은 나라들이 인도·태평양 전략들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며 "저도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자유, 평화, 번영에 기초한 우리나라의 인·태 전략의 원칙을 발표하고 한국과 아세안 관계에 대한 연대 구상을 발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또한 "이런 다자회의에서 중요한 양자회담들이 여러가지 있는데 먼저 한미일 정상회담은 확정이 됐다"면서 "몇 가지 양자회담을 확정했거나 진행 중"이라고도 밝혔다.

    다만 그는 "양자회담은 미리 확정되는 경우도 있고 다자회의 진행 중에 갑자기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거니와 검토되다가 여러 가지 사정상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순방을 계기로 개최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는 한일 정상회담은 아직 미정인 상황이다.

    한편, 윤 대통령의 이번 순방은 "북한의 도발, 이태원 참사 수습 등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이뤄지는 만큼 필요한 핵심 일정 위주로만 참석한 뒤 귀국할 예정"이라는 것이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 가운데 야당에서는 이태원 참사 관련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한 상황이다. 윤 대통령은 이같은 야당의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윤 대통령은 "과거에도 우리가 많은 인명 피해와 희생자가 발생한 이런 사건 사고에서 수사 기관이 과학수사와 방재 수사에 기반한 신속한 진상규명을 국민들 모두가 바라고 있다"면서 "일단 경찰수사 송치받은 후에 신속한 검찰수사에 의한 진상규명이 국민들께서 더 바라시고 계시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번 동남아 순방에서 MBC 출입 기자들의 전용기 탑승을 불허하기로 한 데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이 많은 국민들의 세금을 써가며 해외 순방을 하는 것은 그것이 중요한 국익이 걸려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윤 대통령은 '순방 전부터 특정 언론사에 대해 전용기 탑승을 배제했는데 입장이 있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이같이 답변하며 "기자 여러분들도 그렇고 외교안보 이슈에 관해서는 취재 편의를 제공한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받아들여주시면 되겠다"고 말했다.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대통령실 대상 국정감사에서 '웃기고 있네' 메모 논란을 일으킨 김은혜 홍보수석과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에 대해 윤 대통령은 "국회에 출석한 정부위원들과 관련해 많은 일들이 있지 않았나"라며 "종합적으로 다 좀 이해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경질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