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이상민, 경찰개혁 적임자 갈 길 먼 상황, 섣부른 경질 없을 것"尹 "경찰업무 대대적 혁신" 강조… 수뇌부 인적쇄신 불가피할 듯
  •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태원 참사 관련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태원 참사 관련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이태원 참사 책임을 놓고 야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의 경질을 요구하는 가운데 대통령실에서는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하는 경찰개혁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이 장관의 역할이 아직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8일 통화에서 "이번 이태원 참사가 준 교훈은 경찰의 개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라며 "이상민 장관이 경찰개혁의 적임자로 임명된 만큼 갈 길이 먼 상황에서 섣부른 경질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하지만 경찰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만큼 경찰 수뇌부에 대한 인적쇄신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임명 당시부터 윤석열정부의 경찰개혁을 주도할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윤 대통령의 고등학교·대학교 직속후배인 이 장관이 경찰국 신설과 경찰대 개혁, 검찰과 수사권 재조정 문제 등 민감한 이슈를 돌파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장관은 1호 지시사항으로 행안부에 경찰 통제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법 개정으로 경찰의 수사 권한이 비대해지는 상황에서 이를 통제할 장치가 부족하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이 장관은 지난 7월 야당의 반대에도 경찰국 신설안을 마련했고, 이 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31년 만에 행안부 내 경찰국이 부활했다.

    대통령실이 이 장관 경질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지만, 경찰을 향한 문책과 개혁 드라이브는 더욱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7일 국가안전시스템점검회의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위험에 대비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경찰업무에 대해서는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우선 대통령실에서는 이태원 참사에 따른 대처 방식을 대상으로 한 경찰의 수사와 감찰 결과가 나온 뒤 이 장관의 거취가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하는 목소리가 많다. 

    대통령실 한 관계자는 "수사와 감찰 결과가 나오면 아무래도 경찰 쪽에서 인적쇄신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며 "이 장관에게 책임자로서 도의적 책임을 물을 수는 있어도 법적으로는 하자가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