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 2019년 6월부터 모든 암호화폐 거래 금지중국인들, 비트코인 이용해 연간 20조~30조원 자산도피
  • ▲ 중국의 한 암호화폐 채굴장.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의 한 암호화폐 채굴장.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은 2019년 6월 모든 암호화폐 사용을 금지했다. 그럼에도 현재 중국은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량의 80%를 차지한다. 반공 중화권 매체 에포크타임스는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은 허용하면서 사용은 금지하는 모순된 정책을 펴는 것이 실은 경제전략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AFP·DW “중국 비트코인 채굴량, 전 세계의 약 80%”

    대표적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채굴’을 통해 얻는다. ‘채굴’이란 컴퓨터로 복잡한 수학공식을 풀어 그에 따른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얻는 것이다. 하지만 ‘채굴’을 위해서는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연산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제대로 돌리려면 강력한 냉방장치도 필요하다. 

    이 같은 여러 과정에는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다. 자칫 ‘채굴’에 드는 전기요금이 비트코인보다 비싸질 수도 있다. 때문에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업자들은 전기요금이 저렴한 곳으로 몰린다. 중국도 그 중 한 곳이다.

    AFP 통신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세계 비트코인 채굴의 79%가 중국에서 이뤄진다. 독일 관영 도이체벨레(DW)는 비트코인 채굴에 소모되는 전력을 역산(逆算)한 결과 해당 전력량의 70%가 중국에서 사용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전기요금과 인건비가 저렴한 탓이다.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중국의 암호화폐 채굴업자들은 신장 등 서부 산간지역에 주로 몰려 있다. 여기에는 중·소형 수력발전소가 많다. 여름철 홍수가 일어나 물을 방류할 때는 전기를 무료로 공급해 준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게다가 산간지역의 낮은 기온 덕분에 채굴장치 냉각도 쉬운 편이다. 

    신문은 “이런 입지조건을 활용해 수력발전소 소장이 암호화폐를 채굴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민간 수력발전소는 중국 당국이 청정에너지 사업보조금까지 주기 때문에 채굴비용이 더 저렴하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중국에서는 쓸 수 없는 비트코인… 용도는 자산 해외반출과 돈세탁

    중국인들은 왜 자국 내에서는 쓸 수도 없는 비트코인을 채굴할까. 에포크타임스는 돈세탁 용도라고 지적했다. 블록체인 보안기업 ‘팩쉴드’가 내놓은 ‘암호화폐 돈세탁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당국의 감시망을 피해 중국에서 해외로 빠져나간 암호화폐는 2019년 114억 달러(약 12조9000억원), 2020년 175억 달러(약 19조8170억원)나 된다.

    ‘팩쉴드’가 지난해 자금 유동량을 분석한 결과는 더욱 놀랍다. 지난해 1~10월 중국에서 해외로 유출된 비트코인은 8만 9400~16만6900개로 추산됐다. 그런데 중국 당국이 지난해 11월부터 암호화폐 거래를 더욱 엄격히 규제하자 11월에는 23만1700개, 12월에는 25만4100개의 비트코인이 해외로 빠져 나갔다. 

    비트코인 1개 가격을 5만 달러로 잡아도, 지난해 11월 115억8500만 달러(약 13조1140억원), 12월 127억500만 달러(약 14조3820억원)가 빠져 나간 셈이다. 신문은 “이러한 추세는 지속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자산을 해외로 빼돌리고, 돈세탁을 하는 데 암호화폐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중국 당국도 잘 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중국 관영 매체들도 “개인과 기업이 거액의 자산을 해외로 빼돌리거나 돈세탁을 하는 데 암호화폐를 사용하지만, 추적과 관리가 어려워 그 규모가 늘고 있다”는 보도를 여러 차례 냈다고 한다.

    중국 당국, 암호화폐 채굴 놔두는 두 가지 이유

    그럼에도 중국 당국이 암호화폐 채굴을 허용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첫째는 ‘디지털 위안화 체제 구축’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C)’이 발행하는 디지털 위안화는 달러 체제에 맞서기 위해 만들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므로 다른 암호화폐처럼 탈중앙집권적이며 익명성을 보장한다”는 것이 중국 측 주장이지만, 실제로는 사용자끼리의 익명성만 보장할 뿐 모든 권한을 가진 인민은행은 정보를 제한 없이 볼 수 있다. 

    이처럼 기존의 암호화폐들이 내세우는 ‘탈중앙화 금융(Defi)’과는 거리가 먼 ‘디지털 위안화’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암호화폐로 만들어 위안화 가치를 높인다는 거싱 중국 당국의 계획이다.

    두 번째는 중국인들이 암호화폐를 채굴할수록 국내총생산(GDP)이 증가하는 것이 이유다. 지난해 우한코로나 대유행으로 세계경제는 크게 위축됐다. 동시에 각국 정부의 유동성 확대로 자산 가치가 급등했다. 비트코인도 가격이 폭등했다. 중국인들이 비트코인을 채굴할수록 중국의 GDP는 증가한다. 여기에 비트코인 가격까지 오르면 우한코로나 상황임에도 중국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에포크타임스는 “지난 2월21일 중국의 비트코인 일일 채굴 수익이 5880만 달러(약 665억원)에 달한다는 중국 현지매체 보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를 연간으로 따지면 214억6200만 달러(약 24조3010억원)다.

    비트코인, 중국 당국과 시민 중 누구 품에 안길까

    이처럼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대하는 중국 당국과 중국 시민들의 생각은 크게 다르다. 중국 당국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이용한 자산도피나 돈세탁을 막으려고 지금도 금융기관과 온라인 금융 플랫폼 기업들을 강력히 규제한다. 동시에 블록체인 기술의 국제표준을 선점하고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다.

    반면 중국 시민들은 암호화폐를 이용해 자산을 해외로 내보내는 데 더 관심이 많다. 미국으로 망명한 부동산재벌 출신 ‘궈원구이(郭文貴)’는 “현재 중국인들은 부자일수록 불안감을 느끼고 자산을 안전하고 비밀스러운 곳으로 옮기려 한다”며 “암호화폐는 그에 가장 적합한 자산 형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