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입국 때 ‘초청장’ 면제… IOC 위원장 "올림픽 관계자들에게 중국산 백신" '뜬금포' 발언으로 친중 구설
  • ▲ 중국 국영기업 시노백에서 만든 우한코로나 백신.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국영기업 시노백에서 만든 우한코로나 백신.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이 15일부터 자국산 우한코로나(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외국인에게만 비자 발급을 간소화해준다고 밝혔다. “도쿄올림픽 출전 선수들에게 무료로 중국산 백신을 접종해주겠다”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발언이 나온 지 나흘 만에 벌어진 일이다. 

    중국, 각국 대사관 통해 “중국산 백신 접종증명서 있으면 비자 신청 편의 제공”

    주한 중국대사관은 지난 14일 “국경 간 인적교류를 회복하기 위해 2021년 3월15일부터 주한 중국공관은 중국산 우한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고 접종증명서를 소지한 입국비자 신청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비자신청대행업체 등에 공지했다.

    해당 공지에 따르면, 중국에 상업무역·교류방문·개인사무 목적으로 입국하려는 사람이 중국산 백신 접종증명서를 갖고 있으면 ‘초청장‘ 제출 의무를 면제한다. 다만 중국행 비행기를 타기 전에 PCR 검사 증명서를 제출하고, 중국 도착 후 자가격리하는 지침은 변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중국에 입국하려면 현지 당국에서 발급한 ’초청장‘이 필수였다. 보통 발급대행업체를 통해 초청장을 발급받으려면 수십만원이 필요했다. 중국은 이를 백신 접종증명서로 대체한 것이다. 

    중국은 전 세계 공관을 통해 이 같은 조치의 시행을 공지했다. 일본·파키스탄·태국 등에도 같은 공지가 전해졌다. 이와 관련한 일본의 온라인 여론은 상당히 비판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유효성·신뢰성 낮은 중국산 백신… 브라질·페루 이어 동남아도 외면

    세계 각국은 지난해부터 우한코로나 백신 확보에 열을 올렸다. 그러나 중국산 백신은 논외였다. 효용성과 신뢰성이 문제였다. 중국산 백신을 서둘러 확보했던 개발도상국에서는 올 들어 논란이 일었다.

    지난 6일(현지시간) 페루 안디나통신은 분자생물학자 에르네스토 부스타만테 박사와 페루 보건부 간 공방을 전했다. 

    부스타만테 박사가 “중국산 백신 유효성이 기껏해야 33% 불과하고, 변이 바이러스에는 유효성이 11.5%에 불과하다”고 폭로하자 페루 보건부가 중국 측 자료를 들어 반박했다. 

    유사한 일은 지난 1월에도 있었다. 당시 “중국산 백신의 유효성이 50%에 불과하다”는 브라질 연구기관의 발표가 나오자 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이 “국민은 실험 대상이 아니다”라며 중국산 백신 접종을 연기했다.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지면서 중국산 백신은 외면받았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 공작?… IOC의 중국산 백신 밀기

    그런데 최근 다시 논란이 일었다. 지난 11일 온라인으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는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뜬금없는 제안을 내놨다. 

    “중국 올림픽위원회가 올해 도쿄올림픽과 내년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와 관계자에게 중국산 우한코로나 백신을 제공하겠다는 제안을 해왔다”고 밝힌 바흐 위원장은 “모든 비용은 IOC가 부담할 것”이라며 “우리는 진정한 올림픽 정신에 부합하는 중국 측 제안에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당황한 것은 일본이었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내각관방장관은 12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IOC와 사전 논의는 없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파악되지 않았다”며 당황한 기색을 드러냈다. 가토 장관은 “일본 정부는 백신 접종을 전제로 하지 않고 올림픽을 치르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마루카와 다마요 올림픽담당장관은 “바흐 회장의 말은 아마도 중국산 백신을 승인한 나라에서의 접종을 말하는 것 같다”며 “원칙적으로 일본 선수들은 (중국산 백신의) 접종 대상이 아니다”라고 정리했다.

    이런 해프닝이 일어난 지 나흘 만에 “중국산 백신을 맞으면 비자 신청 시 특혜를 준다”는 중국 당국의 발표가 나온 것이다. 

    이를 두고 대만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백신을 앞세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