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집결 노림수?… 野 "文, 대국민 사과하고 추 장관 경질해야"
  • ▲ 추미애 법무부장관 페이스북 캡처.
    ▲ 추미애 법무부장관 페이스북 캡처.
    야권은 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정사진을 올리며 검찰을 비판한 추미애 법무부장관과 관련 "국민에게 외면당한 법무부장관의 마지막 몸부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추 장관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친문(親文)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야권은 또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임명권자인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추 장관 경질을 재차 촉구했다.

    野 "추미애, 측근 등 돌리자 돌아가신 분 끌어들여"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국민에게 외면당한 법무부장관의 마지막 몸부림을 본다"며 "법무부 감찰위원회, 법원, 심지어 믿었던 측근까지 등을 돌리자 이제 돌아가신 분까지 끌어들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김 대변인은 "'의원 추미애'가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했던 하소연을 왜 국민이 들어야 하나. 구차한 변명은 친문(親文) 세력과 따로 만나 하라"며 "한 줌 권력을 막판까지 남김없이 흡입하려는 망자(亡者) 소환, 한평생 공정과 통합의 결단을 해온 고인이 들으면 혀를 끌끌 찰 일"이라고 꼬집었다.

    윤석열 검찰총장 직무집행정지 처분이 법원에 의해 가로막히면서 역풍이 불자 노 전 대통령을 끌어들여 친문 지지층 결집을 시도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2004년 3월 새천년민주당 상임중앙위원이었던 추 장관은 노 전 대통령 탄핵안 발의에 찬성 견해를 낸 바 있다. 이후 탄핵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자 광주에서 삼보일배하며 속죄를 구했지만 같은 해 4월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낙선했다.

    안혜진 국민의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추 장관은) 느닷없이 사찰 프레임을 덧씌워 검찰총장 찍어내기에 몰두한 공적으로 훗날 최악의 공직자로 낙인찍히기에 결코 부족함이 없다"며 "노무현 전 대통령을 입에 담을 자격이 있는지를 먼저 돌아보고 제발 가증의 혀를 단속해주기 바란다"고 맹비난했다.

    "이제 오롯이 文의 시간"

    문 대통령을 향한 추 장관의 경질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이종배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편법으로 조작된 윤석열 총장의 징계위원회 취소를 즉각 결단해야 한다"며 "대국민 사과와 함께 추 장관을 즉각 경질해야 한다. 마지막 상식까지 걷어찬다면 여론의 심각한 역풍을 모두 대통령이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제 오롯이 대통령의 시간이다. 더 이상 추 장관을 앞세워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며 "대통령은 군림하는 자리가 아니다. 이제 더 이상 도망갈 곳도, 숨을 곳도, 떠넘길 사람도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추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노 전 대통령 영정사진과 함께 "'살아 있는 권력'을 수사한다면서 정치적으로 수사 표적을 선정해 여론몰이할 만큼, '검찰당'이라 불릴 만큼 이미 정치세력화된 검찰이 민주적 통제 제도마저 무력화시키고 있다"며 장관직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