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서릿발 치는 보복 계속될 것" 도발 예고했는데… "평화·통일 한 걸음씩 나아가야" 뜬소리
  • ▲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6·15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무거운 마음으로 맞게 되었다"며 최근 경색 국면에 접어든 남북관계와 관련한 소회를 밝혔다. 북으로부터 "냉면 처먹을 땐 요사 떨더니"라는 모욕을 받고도 '낙관적 신념'을 바탕으로 한 평화와 통일을 향한 변함 없는 의지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나와 김정은 위원장이 8000만 겨레 앞에서 했던 한반도 평화의 약속을 뒤로 돌릴 수는 없다"며 "4·27판문점선언과 9·19평양공동선언은 남과 북 모두가 충실히 이행해야 하는 엄숙한 약속"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떠한 정세 변화에도 흔들려서는 안 될 확고한 원칙이다. 우리 정부는 합의 이행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며 "어렵게 이룬 지금까지의 성과를 지키고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대화 국면의 지속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그러나 남북관계는 언제든지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격랑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서 "이렇게 엄중한 시기일수록 국회도, 국민들께서도 단합으로 정부에 힘을 모아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호소했다.

    또 남 탓… "정권변동·국제정세 때문에 남북관계 발전 못 해"

    문 대통령은 6·15선언 이후에도 남북관계가 일직선으로 발전해가지 못한 이유를 "정권의 변동에 따라 우리의 대북정책이 일관성을 잃기도 하고, 북핵문제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요동치기도 했으며 남북관계가 외부 요인에 흔들리기도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남북이 함께 가야 할 방향은 명확하다. 구불구불 흐르더라도 끝내 바다로 향하는 강물처럼 남과 북은 낙관적 신념을 가지고 민족 화해와, 평화와 통일의 길로 더디더라도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한다"며 "오랜 단절과 전쟁의 위기까지 어렵게 넘어선 지금의 남북관계를 또 다시 멈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역대 정부의 남북 간 합의들을 거론하며 "국회에서 비준되고 정권에 따라 부침 없이 연속성을 가졌다면 남북관계는 지금보다 훨씬 발전되었을 것이다. 21대 국회에서는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를 위해, 나아가서는 평화경제의 실현을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대 국회에서 좌초했던 판문점선언의 국회 비준이 21대 국회에서는 176석 거대 여당의 힘으로 속도감 있게 처리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풀이된다. 

    北 "서릿발 치는 보복행동 계속될 것"

    문 대통령은 6·15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계기로 화해와 협력의 손길을 내밀었지만, 북한은 이날 "서릿발 치는 보복행동은 계속될 것"이라며 군사적 조치를 시사하는 대남 압박공세를 가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미 천명한 대로 쓸모없는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고, 그 다음 대적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에 위임될 것"이라며 "무적의 혁명강군은 격앙될 대로 격앙된 우리 인민의 원한을 풀어줄 단호한 행동을 개시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이달 초부터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로 시작된 대남 적대기조가 정부의 수용적 태도에도 변하지 않자 야당에서는 북한의 저의를 분석하며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김종인 "北, 내부 어려움 돌파하려 대남 위협"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은 이날 당 회의에서 "최근 북한의 여러가지를 보면 매우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며 "우리는 말로는 북한과 여러 가지 협조를 한다고 약속한 것 같은데, 국제사회의 여러 제약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없는 게 현실이기 때문에 북한에서 내부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대남 위협적 자세를 취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북한의 진의가 미국과의 우월적 협상과 핵보유국으로 가기 위한 명분 쌓기인지, 경제난 심화에 따른 체제단속인지, 북한 권력 내부 변화의 수습 과정인지 파악해야 한다"면서 "외교라인과 대북라인을 총동원해 평양특사 파견을 추진해야 한다. 저도 정부가 요청하면 특사단의 일원으로 갈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