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직 관리 "의견이 일치되는 과정에 있고 막후에선 타결에 근접"
  • ▲ ⓒ조선일보 인포그래픽스
    ▲ ⓒ조선일보 인포그래픽스

     

    한-미 양국이 사드(THADD,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를 협상 중이라는 외신 보도와 관련해 청와대는 "정부에서 관련 자료를 내고 설명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일부 언론과의 통화에서 "많은 문의가 있고 관심이 높은 사안이라 정부 측에서 자료 등을 통해 설명 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미국 전·현직 관리들을 인용, "미국이 한국과 사드 문제를 협상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르면 다음 주에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WSJ은 "미국이 제안한 사드 도입을 한국이 아직 최종 결정한 것은 아니지만 워싱턴과 서울 사이에 비공식 협의가 최근 늘어나고 있다"고 했다.

    최근 한국의 고위 관리들을 만난 미국의 한 전직 관리도 "한국 정부 안에서 사드 도입에 대한 의견이 일치되는 과정에 있고 막후에선 타결에 근접한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이미 괌(Guam)에 사드를 배치했고 일본에도 사드 배치를 검토 중이다. 한국에 사드가 배치되면 동북아 지역에서 포괄적인 미사일방어망를 갖추게 된다.

    WSJ은 "현재 한국은 미사일을 저고도에서 요격하는 체제에 의존하고 있어 적 미사일이 발사되면 짧은 시간에 이 미사일을 파괴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WSJ은 사드가 한국에 배치될 경우 발생하게 될 중국과의 불편한 관계를 우려했다.

    '사드의 눈'이라고 불리는 AN/TPY-2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반경은 최대 2,000㎞에 달한다. 북한 전역은 물론 상하이 톈진 다롄 등 중국 동부 지역 군사적 움직임까지 감시할 수 있다.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를 표면적으로 반대하는 이유다. 이 레이더가 한국에 들어오면 중국 내륙 깊숙한 기지에서 발사되는 ICBM은 물론이고 서해상에서 발사되는 중국 핵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까지 즉각 탐지와 타격이 가능해진다.

    중국 측은 "한국이 아시아 최대 경제체(중국)의 반대를 무시하고 사드를 배치한다면,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과의 관계를 희생시키게 될 것"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이에 청와대가 사드 도입과 관련해 레이더 탐지 반경을 한반도로 한정하는 종말단계요격용(TBR·Terminal-based Radar)의 도입을 검토 중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문화일보>에 따르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아직 미국 측에서는 사드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논의 요청을 하지는 않은 상태로, 요청이 있을 경우 바로 공개해 투명하게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모든 종류와 제원이 아니고 TBR에 초점을 맞춰 진행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TBR는 유효탐지거리가 600㎞로 중국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만 커버가 가능하다. 탐지거리를 2,000㎞에서 최대한 축소한 것이다. 

    <문화일보>는 청와대가 TBR 레이더를 선택한 것은 사드의 배치 목적이 대북(對北) 감시임을 명확히 하고 중국으로부터의 반발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