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28억 公館 이사도 ‘민생챙기기’일까?

김성욱 객원논설위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입력 2015-02-25 10:22 수정 2015-02-25 10:42



   28억 公館 이사도 ‘민생챙기기’일까?

지지율 떨어지는 게 목표라는 박원순 市長

金成昱  /한국자유연합 대표, 리버티헤럴드 대표
  

“저는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이 목표다. 행정만, 서울만, 민생만 잘 챙기려고 한다(2/24, 서울신문).”(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224002003

의문이다. 전세가 28억, 매매가 60억 가회동 공관(公館)으로 이사한 것도
행정(行政), 서울, 민생(民生)만 잘 챙기기 위한 것일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전세 값인 74평 타워팰리스도 23억인 마당에.  

안행부는 이미 4년 전 자치단체장 관사(官舍) 폐지를 권고한 상태다.
대다수 관사는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고 부산시는 1층을 시민에 개방한 상태다.
서울시는 이 흐름을 거꾸로 가고 있는 셈이다.

박원순 시장은 이번 이사(移徙)의 이유로 “도시외교를 위한 각국 대사(大使), 투자유치를 위한 기업인 등 주요 외빈(外賓)을 대상으로 한 공관행사 개최”를 들었다.  

궁색한 말이다. 朴시장은 기존 혜화동 공관 거주 1년 9개월 동안 77회 2753명에게 평균 3만7500원짜리 음식을 제공했고 이 중 외빈은 미국, 일본 대사 초청 단 2회에 불과했다. 나머지 75회는 내국인 초청이었다. 이른바 공관정치 논란이 계속돼 온 이유가 여기 있다. 

朴시장의 “행정만, 서울만, 민생만 챙기는 것”이라는 말이 설득력 없이 들리는 또 다른 이유는 ‘인사(人事)’문제다. 예컨대 서울시 산하 위원회 내 이른바 ‘박원순 사람 심기’는 지나치다. 11일 새누리 이노근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48개 서울시 위원회 중 朴시장 측근으로 파악된 인원은 21명에 달한다. 이들은 朴시장과 직접 관련이 있는 아름다운재단, 참여연대, 희망제작소 출신이다. 문화일보 12일 보도에 따르면, 이들 21명 외에도 朴시장 선거캠프 참모 출신 다수가 배치된‘희망서울정책자문위원회’소속 위원 79명 중 50명도 각종 서울시위원회 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감소 추세였던 서울시 내 위원회가 朴시장 들어 늘어난 것도 문제다. 위원회 숫자만 2009년 116개, 2010년 113개, 2011년 103개에서 올해 148개로 늘었다. 이렇게 늘어난 위원회 가운데 30여 곳은 지난 해 단 한 차례도 회의를 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유령위원회’였다.  

시민들은 궁금하다. 이 모든 논란이 朴시장 본인의 대권(大權) 행보와 무관한 ‘행정만, 서울만, 민생만’ 잘 챙기는 것들인지? 대답은 朴시장 몫이다.

written by (사)한국자유연합 대표 김성욱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