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9년 쿠데타 당시 태국군의 모습. [사진: 호주의 동남아 연구기관 홈페이지 캡쳐]
    ▲ 2009년 쿠데타 당시 태국군의 모습. [사진: 호주의 동남아 연구기관 홈페이지 캡쳐]

    지난 20일 계엄령을 선포하며 “쿠데타가 아니다”라고 했던 태국 군부가
    지난 22일 쿠데타를 일으켰다고 전격 선언했다.

    태국 군부는 쿠데타를 선언한 뒤
    오후 10시부터 새벽 5시까지 통행금지령을 내렸으며,
    5명 이상이 모이는 집회도 금지했다.

    TV와 라디오는 정규방송을 중단한 채
    군부의 메시지만 반복송출하고 있다.

    태국 군부는 23일(현지시간) 국영TV를 통해
    지난 7일 탄핵당한 잉락 친나왓 前총리에게
    오전 10시까지 소환에 응하라고 명령했다.

    태국 군부는
    잉락 前총리를 포함한 탁신 일가족, 잉락 내각 당시 정부 고위 관계자 등
    모두 23명을 소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태국 군부의 쿠데타 소식이 알려지자
    국제사회는 경제원조, 군사협력 중단 등 다양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현행법상 쿠데타로 민간 정부를 전복시킨 나라에는
    지원할 수 없도록 한 조항에 따라 태국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젠 사키 美국무부 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태국에 대한 경제원조 가운데 국무부 산하의 국제개발처(USAID),
    기타 국제·지역 원조 프로그램 등
    최고 1,000만 달러 규모의 경제원조를 중단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美국방부도 현재 아세안 8개국과 함께 태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합동군사훈련 ‘카라트(CARAT)’의 중단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태국 군부가 조속히 민간 정부에 권력을 이양하라고 촉구했고
    EU, 영국, 프랑스, 일본 등도 태국 사태에 우려와 유감을 표명했다.

    국내에서는 현지 관광객과 교민들의 안전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 20일 군부의 계엄령 선포 이후
    태국 방콕과 그 일대에 대해 여행경보 1단계를 발령하고
    다른 지역에 대해서는 기존의 경보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태국에서 계엄령이 발령된 데 대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우리 국민의 피해가 파악된 게 없다고 밝혔다. 

    이번 쿠데타는 태국에서 일어난 19번째 쿠데타다.
    태국에서는 정치권이 혼란을 일으키면
    군부가 나서 '왕정'을 보위하는 쿠데타를 자주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