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원을 위한 변명 
      
     이메일 해킹으로 김정일 건강정보 확보, 5년 내 사망 판단, 이를 바탕으로 MB는 대북압박정책 추진
    강철군화   
     
     국가정보원이 17일 김정일이 사망한 사실을 북한 당국이 공식발표할 때까지 알지 못했다는 이유로 언론과 야당의 질타를 받고 있다.하지만 그게 그렇게 비판받을 일인지는 의문이다.
     
     우선 국정원이 김정일 사망 정보를 파악하지 못한 첫번째 이유는 북한이 철저한 폐쇄국가인데 있다. 거기에 더해 북한당국이 김정일 사망 사실을 철저히 보안에 붙였으니 국정원이 이를 알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둘째, 김정일 사망과 같은 기밀정보는 북한 권부 깊은 곳에 우리쪽 사람이 들어가 있어야 한다. 과거에는 안기부가 북한 권부를 대상으로 그런 공작을 했다. 일설에 의하면 북한에 의해 간첩혐의로 처형된 전 농업담당비서 서관희가 실제로 안기부에 포섭된 인물이었다는 얘기가 있다. 황장엽-김덕홍 망명도 안기부와 민간단체의 오랜 공작의 산물이었다고 한다.
     김영삼 정권 시절까지만 해도 적극적으로 전개되던 이런 류의 대북공작은 김대중 정권이 들어서면서 전면 중단됐다. 임동원이 국정원장으로 있을 때 북한 권부 내 우리 간첩들의 명단을 북한에 넘겨줬으리라는 설도 있다.
     지금 정부의 정보능력 부재를 비난하는 민주통합당은 이 점에 대해 책임감을 느껴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 국정원은 김정일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2008년부터 확보하고 있었으며, 그가 5년을 넘기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이는 <월간조선> 2008년 12월호에서 이미 보도한 바 있다. 이 보도에 의하면 우리 정보당국은 북한에서 외국으로 전송된 여러 장의 김정일 뇌 사진을 가로채(해킹해) 분석한 결과, ‘김정일이 5년을 넘기기 어렵다’는 결론을 냈다”고 한다.
     귀신이 아닌 다음에야 김정일이 언제 죽을 지 알 수는 없는 것이고, 이 정도면 정보당국은 할 일을 제대로 했고, 제대로 정보를 분석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정보판단이 MB정부의 대북정책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점이다.이명박 대통령이 비교적 남북정상회담의 유혹을 멀리하면서 대북 압박책을 일관되게 밀어붙일 수 있었던 것은 김정일이 오래 살지 못할 것이고, 따라서 그와의 만남이나 북한과의 화해(?)에 안달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국정원의 역할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대통령의 통치행위를 뒷받침하는 데 있다. 그 점에서 국정원은 김정일의 건강에 대한 정보를 잘 확보해서 정확하게 분석했으며, 대통령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그동안 바람직한 대북정책을 수행해 왔다.국정원의 수고에 박수를 보낸다.